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칼럼>용산참사와 ´여순사건´의 후예들


입력 2009.01.28 09:30 수정        

용산참사의 배후 ´전철연´ 60년전 여순사건 떠올리게 해


최근 용산철거민 참사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면서 왜 용산 참사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진상규명에 대한 파악과 경찰의 대처방식에 대한 진보진영과 보수진영간 시각차가 노출되고 있다.

일부에선 MB식 독선적 판단이 결국 이런 참사를 불러왔다고 주장한다. 또 뉴타운재개발을 둘러싸고 여러 논란까지도 제기된다. 아예 이 참에 판을 깨자는 소리로 들린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의서에 도장을 찍은 ´뉴타운 개발 사업용지를 찢어버리자는 얘기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이들은 대개가 사건의 이번 과정이나 진상규명보다는 결과론적인 희생에 대해서만 집착하고 그 책임을 묻는다.경위야 어찌뙜듯 사람이 죽었으니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시위대가 지나가는 멀쩡한 시민한테 화염병을 던지는 상황에서 경찰이 그들의 의도대로 마냥 팔짱끼고 참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라는 질문에는 답이 없다.

그럼에도 일부 언론과 진보시민단체는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했다고 공권력의 책임으로 몰아가고 그날 시위를 주도한 그들의 행적에 대해선 여전히 옹호적이다.

그들은 "이젠 본격적으로 촛불집회에 나서야 한다"고 발끈하지만, 솔직히 그들이 철거민들의 주거 대책을 위하여 노력한 것이 아니라 그들 조직의 이익을 위해 이번 일에 나선 것에 대해선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일이다.

지난 1948년 전남 여수에서 발생했던 이른바 ´여순사건´ 역시 이번 ´용산참사´와 마찬가지로 당시 반란군에 의해 촉발된 사건이었지만 반란군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민이 희생되어 이번 ´용산참사´와 비슷한 결과를 가져왔다.

최근들어 이름조차 낯설은 ´여순사건´은 60년전 전남 여수의 ´14연대´가 제주 4.3 사건을 진압하라는 이승만 대통령의 명령을 거부하고 남로당 소속 군인 2000여명이 당시 좌익세력을 규합하여 반란을 일으킨 사건이다.

60년이 지난 서울 한 복판에선 정부의 재개발방침에 반발해 ´전국철거민연합회´라는 투쟁집단이 경찰과 특공대 진압에 맞서다 철거민 5명과 경찰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듯이 당시에도 남로당의 지령으로 인한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의 희생이 뒷따랐다.

지금 사건의 근원지였던 순천에선 당시 반란을 일으켰던 여수의 14연대가 ´반란군´이었냐 아니면 ´봉기군´이었느냐를 두고 때아닌 이념논쟁이 치열하다.

한쪽에선 지난 2004년부터 ´여순사건´에 대해 재조명을 한답시고 당시 사건을 ´봉기´로 규정하고 온갖 미사어구를 동원해 당시 경찰과 군인들을 물리친 것을 위령탑과 안내판등에 자랑스럽게 새겨넣기도 했다.

반대로 이에 맞선 일부 지식인들은 지난 노무현 정권하에서 좌편향된 시민단체가 명백한 반란행위를 아무 거리낌없이 마치 의로운 봉기인 것처럼 표지판에 표시했다 하여 관계기관에 항의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잉진압에 따른 희생자 논란도 똑같다.

60년전에도 남로당 소속의 일부 군인들로 부터 시작된 반란사건은 당시 순천과 여수등 전남동부권의 경찰등 우익인사들에게 피바람이 몰아쳤으며, 결과론적으로 진압과정에서 무고한 양민들의 피해로 이어지고 말았다.

당시 여수와 순천에선 진압군이 현지에 투입돼 반란군을 제거하면서 반란군에 협조했다고 하여 무고한 양민들이 진압군에 의해 억울하게 죽었다.

이번 ´용산참사´도 경찰이 왜 그리 서둘러 진압에 나섰는지 또 경찰특공대가 투입될 만큼 상황이 그리 긴박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고, 진압군이 여수 14연대 반란군 진압작전을 방불했다고 할 만큼 희생을 자초했다는 비난도 일고 있다.

7일간의 반란으로 끝나기에는 너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무고한 양민들이 희생당했기에 진압군인 국군과 경찰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이 나오는 것도 ´용산참사´와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과거사위원회´도 여순사건에 대해 그 진상은 명백한 반란행위로 규정했듯이 이번 ´용산참사´ 역시 그 진상에 대해선 철저히 규명되어야 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전철연´은 이번 점거 농성을 오랫동안 주도면밀하게 준비해왔으며 투쟁의 극대화를 위하여 건물 옥상에 망루 설치하는 방법을 배우고 경찰의 진압작전에 대항하는 방법을 위해 예행연습까지 했다고 한다.

여순사건 역시 ´여수14연대´가 단순히 ´제주 4.3사건´ 진압거부만이 아닌 남로당의 지령을 받고 이승만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체제변혁´ 즉 남한내에 ´공산정권´을 수립하기 위한 차원에서 치밀한 반란계획을 모의했던 것이다.

여순사건과 용산참사가 우리에게 던져준 교훈도 같을 수 있다.

´여순사건´이 우리에게 남겨준 교훈은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고 억울한 죽음이 있었지만 이 사건은 군대내 ´정풍운동´으로 이어져 남로당 군인들이 색출되면서 6.25 전쟁이 발발했지만 남한 어느 한 곳에서도 북한군에 동조한 반란이 없었다는 점이다.

만약 1948년 ´여순사건´이 없었더라면 북한군이 서울에 입성한 1950년 6.25 직후 남로당의 준동으로 군대내 반란세력이 북한군에 가세해 전국은 순식간에 공산화가 되어 단 며칠만에 북한정권이 수립되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결과론적으로 많은 억울한 희생자가 발생한 1948년 10월의 여순사건은 불과 1년 6개월뒤에 발생한 6.25전쟁으로 부터 남한을 구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6.25가 일어났어도 군대와 국민들은 폭동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그렇게 6.25는 끝났고, 북의 의도는 좌절되었다.

이번 용산사건도 진압과정에 안타까운 희생이 발생했다.

안타깝게 돌아가신 이들의 희생이 헛더지 않기 위해선 우리 모두가 이젠 ´촛불´을 들 게 아니라 미래 자유 대한민국 번영의 버팀목이 되는 ´법과 질서´의 수호자가 되어야만 한다.

여순사건에서 억울하게 희생이 있었지만 그로인해 전화위복이 되어 오늘날의 자유 대한민국이 있었듯이 미래의 대한민국도 용산참사의 희생을 발판삼아 지켜나가야 하기에 한 얘기이다.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