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위기를 기회로"…포스트 차이나 골몰하는 화장품업계


입력 2017.01.11 14:17 수정 2017.01.11 16:55        김유연 기자

중국, 수입 불허 28개 중 19개 한국산…11t 반품

중국 의존도 낮추고 신흥시장 진출…'위기 탈출'

서울 시내 한 면세점의 모습. ⓒ데일리안 서울 시내 한 면세점의 모습. ⓒ데일리안

"갑자기 지난 9일부터 한국에서 수입되는 화장품 검열을 강화하기 시작했어요. 화장품 표면에 표기되는 성분표를 짧게 적었다고 트집잡더니 환경위생과에서 벌금을 부과했어요. 중국 시장이 갈수록 녹록지 않습니다."(모 화장품 회사 중국지사 직원)

중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 보복으로 일부 한국 화장품에 대해 수입 불허를 하면서 화장품업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국내 업체들은 중국발 리스크를 대신 글로벌 품질력을 바탕으로 '포스트 차이나' 움직임을 확대하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3일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이 '2016년 11월 불합격 화장품 명단'을 발표했다. 이번에 탈락한 제품은 총 28개로, 이 가운데 19개가 애경 등 한국 업체의 생산품으로 알려졌으며 약 11t 규모의 제품이 반품 처리됐다.

질검총국이 밝힌 불합격 조치의 이유는 해당 제품들의 등록 증명서 미비, 신고 제품과 실제 제품의 불일치, 제품 성분 문제 등이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이유로, 중국과 한국의 마찰이 지속되자 한국 화장품업계에 본격적인 위협이 가해지는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화장품 시장 규모 세계 1위인 중국은 한국 화장품 수출의 41%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는 2013년 2억7831만 달러(약 3327억 원)에서 2015년 10억8743만 달러(약 1조3000억 원)로 크게 성장했는데 중국 수출이 큰 기여를 했다. 이 때문에 사드발 후폭풍이 화장품 업계에 본격화하면 엄청난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특히 국내 한국 화장품 시장은 중국 내 K-뷰티 열풍으로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화장품 사업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중국 시장 진출에도 난항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에서 한국 연예인의 활동을 금지하는 '금한령', 한국행 전세기 운항 등 사드 보복 조짐이 짙어지면서 업계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의존도를 낮추면서 신흥시장 진출로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주요 업체들은 이미 동남아, 중동지역은 물론 유럽과 미주까지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섰고,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인정받아 그 결실을 맺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 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에 접어들어들면서 대형 화장품 업체의 경우 이미 동남아, 중동 등 세계 무대로 진출했다"면서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세안 시장은 두 자리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눈에 띄는 고성장을 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지혜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국내 화장품업체들이 유럽 세포라 내 브랜드 홍보 효과를 강화하는 동시에 미국, 유럽 등 신규 채널 진출이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수출 아이템이 다변화되면서 수출 평균단가 또한 상승세"라고 내다봤다.

김유연 기자 (yy908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유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