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산림청, 산촌 거점권역 30곳 조성…일자리 6만개 창출


입력 2017.10.23 15:16 수정 2017.10.23 15:19        이소희 기자

‘사람중심의 산림자원순환경제’로 탈바꿈 선언, 도심엔 그린인프라 구축 진행

‘사람중심의 산림자원순환경제’로 탈바꿈 선언, 도심엔 그린인프라 구축 진행

산림청이 개청 50년을 맞아 새로운 정책의 패러다임을 도입키로 했다.

그간의 산림정책이 ‘자원’의 육성에 초점이 맞추어짐에 따라 ‘사람’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을 탈피해 사람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산림자원을 순환·이용해 지속가능한 경제·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산림청은 개청 50주년과 청장 취임 100일을 맞아 ‘사람중심의 산림자원순환경제’라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해 일자리 6만개를 창출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23일 밝혔다.

김재현 산림청장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사람중심의 산림자원순환경제’라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산림청 김재현 산림청장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사람중심의 산림자원순환경제’라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산림청

이를 위해 산림청은 10대 전략과제를 통해 산촌과 도시지역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디자인했다.

10대 전략과제로는 ▲산촌특구(산촌 거점권역) 육성 ▲도시숲 그린인프라 구축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선도산림경영단지 활성화 ▲산림복지단지 모델 제시 및 확대 ▲임업인 소득안전망 확충 ▲산림 교육·훈련체계 개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로 청정지역 확대 ▲국산재 활용 목조건축 활성화 ▲산림생명자원의 산업적 활용기반 구축 ▲산림곤충산업 육성 등이다.

먼저 산촌지역에는 2022년까지 전국의 주요 권역별로 ‘산촌 거점권역’ 30곳을 조성키로 했다.

산촌거점권역에서는 산림자원의 조성과 육성, 벌채 이용, 재조성에 이르는 순환구조의 각 단계마다 산촌 주민들을 위한 친환경일자리를 제공하고,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추진한다.

예를 들면, 나무심기와 숲가꾸기 사업을 할 때 산촌주민과 귀산촌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벌채 이후에는 벌채목을 목조주택 건축과 신재생 바이오 에너지로 활용하며, 벌채된 자리에는 새로운 나무심기를 통해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을 도모한다는 방안이다.

또한 도시지역에는 선진국형 도시재생 프로그램인 ‘그린인프라(Green Infra) 구축’이 진행된다.

그린인프라 구축 정책에서는 도시숲·도시공원·도시정원 등 녹지공간을 확대 조성하면서, 기존 녹지공간을 생태적으로 관리개선하고, 산업화 시대의 재료인 콘크리트와 철 등을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목재를 확대 보급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이를 통해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프로그램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뿐 아니라 친환경 목재이용 확대에 따른 도시와 산촌과의 연계성 제고, 기후변화대응에도 기여하는 1석4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산림청은 기대하고 있다.

특히 그린인프라 구축 정책은 세부계획 수립과 실행, 유지관리와 모니터링 등의 전 과정을 지자체와 국민 등이 함께 추진하는 ‘국민 참여형 정책’의 대표적인 모델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일자리 창출은 6만 개 중에 3만 개 정도는 직접고용을 예산을 통해 실행하고, 나머지 한 3만 개는 기존의 정책사업과 연계시켜 좋은 일자리로 유도하는 정책을 추진한다는 방안이다.

이와 함께 산림청은 원활한 정책추진에 필요한 내부 열린 혁신을 위해 10대 조직 혁신과제도 함께 발표했다.

산림청 내부의 조직·인사혁신과 직원 역량강화는 물론, 관계기관 간 소통·협업 강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 국민·전문가 등과 함께하는 거버넌스 구현 등을 포함하고 있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취임 100일을 맞아 앞으로는 단순한 산림자원 육성을 뛰어넘은 ‘사람중심의 산림자원순환경제 정책’을 통해 2022년까지 지속가능한 좋은 일자리 6만개를 창출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