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국산밀 자급률 높인다…정부 수매비축·품질등급제 도입


입력 2018.12.26 14:09 수정 2018.12.26 14:12        이소희 기자

농식품부,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발표…생산·유통·품질·수요 확대 및 제도 개선 추진

농식품부,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발표…생산·유통·품질·수요 확대 및 제도 개선 추진

정부가 밀의 수매비축제도를 부활시키고, 품질등급제를 도입을 추진한다. 품질은 낮고 가격은 높아 자급률이 바닥인 국산밀의 자급기반 확충을 위한 방책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국산밀 품질 제고와 수요 확대에 중점을 둔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을 마련해 26일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밀 생산량을 2022년 21만톤으로 늘리고, 밀 자급률을 9.9%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밀은 식생활의 서구화로 쌀 다음을 차지하는 제2의 주식(2017년 1인당 연간 밀가루 소비량 32.4kg)이 됐지만 자급률은 1.7%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생산단계 품질·유통단계 품질·수요 확대, 제도 개선 등을 중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우선 고품질의 밀을 개발하기 위해 2022년까지 22억5000만원을 들여 민간 주도 '국산 밀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빵과 중화면 등에 적합한 국내 환경적응 경질밀 유전자원을 5개 이상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 보급종 공급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보급종 선정과 공급방식을 기존 생산 농가 중심에서 수요자인 가공업체 참여방식으로 개선해 국산밀의 가공·이용성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또 기존 쌀을 중심으로 지원되던 '들녘경영체육성사업'을 밀·콩·감자 등 밭 식량작물로까지 확대하고, 내년 36억5000만원을 새로 투입해 교육·컨설팅, 농기계, 장비, 저장·건조·정선·가공시설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밀 생산자단체 등이 품종 통일, 파종·시비·수확, 수매·저장 등에 대해 일관되고 구분된 고품질 관리체계를 확립해나갈 예정이다.

전남과 전북 등 밀 주산지에 대해서는 ‘지역 단위 밀 생산-가공, 유통-소비 모델'을 만들어 확산시킬 계획이다.

유통단계에서는 내년부터 기존의 외관상 품위 규격 외에 가공용도별 단백질 수준과 품종 순도 등이 포함된 밀 품질등급 규격을 신설하고, 품종과 품질 등급별 10~20% 이상 차등된 가격에 정부가 수매해 국산밀 품질 제고를 유도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밀은 가공·이용 시 품질 균일성이 중요하나 기존 농산물 검사 규격에는 밀가루 가공적성 품질 등이 고려되지 않아 국산밀 품질관리가 미흡한 점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밀 전문단지와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품질분석기 등의 보급을 확대해 민간 차원에서도 품질별 구분 수매·저장·유통체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수확 후 관리시스템도 개선된다. 건조·저장·제분·유통단계에서 철저히 품질관리를 할 수 있도록 밀 전문단지를 중심으로 관련 시설을 지원(매년 3~4곳)하고, 미이 개발된 ‘국산밀 수확 후 관리시설 표준모델’(한식연) 보급도 확대한다.

국산밀의 수요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농식품부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농식품부

농식품부는 내년 밀 의무자조금 전환과 2020년부터 국산밀 이용 음식점에 대한 인증제 도입을 추진하고, 농협 하나로마트에 국산밀을 활용한 PB제품 생산·판매 확대 및 aT 사이버거래소와도 연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내년부터 '밀쌀'의 군납을 추진하고, 밀쌀 급식 시범학교도 현재 서울·경기권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대한다. 또 지방 이전 공공기관 중심의 로컬푸드(밀쌀 등 국산밀제품, 지역단위 푸드플랜사업 연계) 이용 확대 등을 통해 국산밀 대량 수요처를 확대키로 했다.

‘밀쌀’은 통밀의 겉껍질을 일부 벗겨낸 것으로, 주로 쌀과 함께 10~20% 섞어 잡곡밥 형태로 섭취하며, 식이섬유·폴리페놀·비타민·무기질 등이 풍부해 시범 학교급식 결과 톡톡 터지는 식감이 좋고 타 잡곡 대비 저렴하며 연중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농식품부는 밀수입 자유화에 따라 1984년 폐지된 밀 수매비축제를 35년 만에 새롭게 개편·도입한다.

이를 위해 신규로 100억원을 투입해 국내 생산량의 27% 수준인 1만톤 가량을 사들일 계획이다.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용도별 고품질 밀을 수매하되, 수매품종 제한과 품질등급별 차등가격 매입을 통해 고품질 밀 생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수매된 밀은 군·학교급식·수입밀 가공업체 등 신규 대량 수요처에 할인 공급해 국산밀 수요기반을 확충해나갈 빙침이다.

또한 농협-주류협회 간 주정용 계약물량을 현행 보리 위주에서 밀 품목을 추가하는 방안도 협의해 밀 사용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현재 12개 시·군에 시범사업 중인 밀 농작물재해보험의 대상 지역을 잠정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국내 밀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도기반 마련 등 법적 뒷받침을 위해 밀산업육성법 제정도 추진한다.

밀산업육성법에는 밀 생산·유통단지의 지정, 계약재배 장려, 밀 품질등급제 시행, 비축사업의 운영, 집단급식소에 우수밀가공품 우선구매 요청, 유통센터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지만 올해 2월 국회 상임위 검토단계에서 WTO협정 위배가능성이 있어 대안을 마련해 소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관계기관·전문가·생산자단체·가공유통업체 등을 포함한 밀산업발전협의회를 구성해, 중장기 국산밀 생산·수요기반 확대와 통합적 관점에서의 밀·보리 적정 생산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해나갈 예정”이라며 “이번 발전대책이 밀 수급안정과 고품질 밀 생산 유도를 통해 국산밀 생산·소비기반을 확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