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제약산업, 국부창출 대안…대통령이 '국가주력산업' 선언해야"


입력 2019.01.17 16:06 수정 2019.01.17 16:08        손현진 기자

"文정부, 100대 국정과제에 제약산업 포함…R&D 정부 지원 비중은 8% 불과"

"벨기에·스위스는 정부 노력으로 '제약강국' 성장…'국가주력산업' 선언 필요"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제약산업을 국부창출의 잠재력이 높은 산업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을 촉구했다. 대통령이 제약산업을 '국가주력산업'으로 선언하고, 산업 육성을 위한 강력한 실천방안이 따라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17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 협회에서 '제약산업, 대한민국의 미래다'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196개 제약기업을 회원사로 둔 민간단체다.

국가 차원의 집중적인 지원에 따라 1970년대 이후 한국 경제를 지탱해 온 주력 산업들이 성장의 한계에 봉착한 상황인 만큼, 차기 성장엔진을 모색할 시점이라는 게 그의 시각이다. 우수한 보건의료 인력과 인프라, 세계적인 임상 경쟁력 등을 갖춘 제약산업이 국부창출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제약산업을 미래형 신 산업으로 보고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했지만, 제약업계의 R&D(연구개발) 투자 대비 정부 지원은 8%대로 미국(37%), 일본(19%)에 비해 현저히 낮다고 지적했다.

산업 육성보다는 가격 통제 등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세계 제약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이 2%도 채 되지 않는 현실에 처했다는 것이다.

원 회장은 "정부의 성과 보상 체계에 대한 산업 현장의 체감도는 매우 낮다"며 "제약산업을 육성하자는 의견은 쏟아져 나오지만 그 결과로 나온 정책들이 산업 현장에서 체감이 잘 되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벨기에와 스위스 등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자원빈국인데다 인구도 적지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따라 제약강국으로 거듭난 경우다. 벨기에 정부는 전체 국가 R&D 예산의 40%를 제약부문에 투자하고, R&D 인력에 대한 원천징수세와 특허세 80% 면제 등 파격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벨기에의 의약품 수출 규모는 52조원대로 내수(14조)의 4배에 가깝다. 우호적인 사업환경에 따라 글로벌 30위권 제약사 중 29곳은 벨기에에 거점을 두고 있다.

인구가 800만 명에 불과한 스위스는 연간 1000개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연구비용의 50%를 지원하고, 매출 대비 1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중소기업에 특별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스위스 전체 산업 중 제약·화학부문이 총 수출의 42%를 차지하고 있고, 노바티스·로슈 등 상위 10개사 매출액의 98%는 해외 수출로 거둬들이고 있다.

원 회장은 국내 제약업계가 정부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내수와 제네릭을 중심으로 활로를 모색해왔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세계시장을 겨냥해 신약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협회에 따르면 제약기업의 R&D 투자는 2016년 3500억원에서 2017년 1조3200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인적 투자도 활발히 이뤄져 2010년 이후 전 산업 평균보다 2배로 높은 고용 증가율과 청년고용율을 나타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다양한 형태의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인한 성과도 나오고 있다. 유한양행이 바이오벤처인 오스코텍과 함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를 개발해 얀센에 기술이전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밖에도 유한양행과 녹십자의 희귀질환 치료제 공동개발, 대웅제약과 강스템바이오텍의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등이 이뤄지고 있다.

원 회장은 업계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에 정부의 강력한 육성 의지가 더해진다면 ▲2025년 글로벌 매출 1조 국산 신약 탄생 ▲2030년 10조 매출 국내 제약회사 출현 ▲2035년 의약품 수출 100조 달성 등이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그는 "선도물질부터 임상3상까지 진행 중인 573개 합성·바이오신약에 2030년까지 개발 예정인 파이프라인까지 더하면 953개에 달해 국내 제약산업의 R&D 잠재력은 폭발 직전"이라고 말했다.

협회 차원에서는 올해 회원사들의 개별 이익을 넘어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협치에 중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 신약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지원센터과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 등을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를 촉진하기 위해 산·학·연·병·정 글로벌 진출 협의체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또 제약·바이오산업 채용박람회를 정례화해 일자리 창출 역량을 극대화하고, ISO 37001(국제표준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등을 추진해 제약산업에 대한 국민 신뢰를 제고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원 회장은 "대통령이 제약산업 육성 의지를 선언적으로 얘기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본다. 관계부처에서 이미 각론에 해당하는 요건을 다 알고 있는데 뇌관이 안 터지고 있다"며 "민관 협치와 건전한 산업 육성, 국가주력산업 선언 등이 궁극적인 요청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손현진 기자 (sonso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손현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