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심화되는 환경규제…해운사, 경제성 놓고 '대응 분주'


입력 2019.03.19 06:00 수정 2019.03.18 18:12        조인영 기자

내년부터 황산화물 배출량 3.5%→0.5% 적용

개방형 스크러버 세정수 기준도 강화 조짐…현대상선 등 투트랙 전략

내년부터 황산화물 배출량 3.5%→0.5% 적용
개방형 스크러버 세정수 기준도 강화 조짐…현대상선 등 투트랙 전략


컨테이너선.ⓒ현대상선 컨테이너선.ⓒ현대상선

해운업계의 환경규제가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다. 내년 1월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연료유의 황함유량(SOx) 기준을 0.5%로 낮추는 데 이어, 황산화물 세정수 배출을 금지하는 지역도 늘어나고 있어서다.

현대상선 등 원양선사는 스크러버(황산화물 저감장치)와 저유황유를 모두 활용하는 방식으로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성을 이유로 저유황유를 고려중인 대다수의 중소형 선사들은 물량 확보 및 유동성 문제 등으로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는 최근 MEPC(73차), PPR(6차) 회의에서 스크러버에서 배출되는 세정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합의했다. IMO는 추가 조사를 통해 세정수 오염 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배출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해운사들은 내년 환경규제 시행을 앞두고 선박에 저유황유 또는 스크러버를 장착해 황함유량 배출을 낮추고 있다. 개방형 스크러버의 경우 바닷물을 이용해 배기가스를 씻어낸 뒤 다시 바다로 내보내는 구조로, IMO는 이 때 배출되는 세정수의 오염도를 조사하겠다는 것이다.

업계는 글로벌 기준치 보다 오염도가 높으면, 세정수 배출 규제 지역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이미 미국과 유럽, 중국에서는 개방형 스크러버의 세정수 배출을 금지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최대 선박연료유 공급기지인 싱가폴은 지난해 말 스크러버 세정수 배출 규제를 발표했고, 지난 1월엔 아랍에미리트(UAE) 항만당국이 개방형 스크러버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다만 규제 지역이 연안과 항만에 그치고 있어 현대상선을 비롯한 스크러버 설치 선사들은 타격은 적다고 보고 있다.

현대상선은 배기가스를 씻어낸 세정수를 배 밖으로 버리는 개방형과 배 안에 보관해 육상에 묻는 폐쇄형을 혼합한 하이브리드형 대형 컨테이너선(2만3000TEU급) 12척을 내년 4월부터 순차 도입한 뒤 공해에선 스크러버를, 연안에선 저유황유로 세정수 규제에 대응할 계획이다. 현재는 벙커C유와 저유황유 탱크를 탑재해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일찍부터 환경규제를 실시한 유럽과 미국의 경우 입항 시 모든 선사들이 저유황유를 써야 한다"면서 "현재로선 스크러버와 저유황유 방안이 경제적인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팬오션, 폴라리스쉬핑, 대한해운, 에이치라인 등의 선사들도 일부 선박에 스크러버를 장착해 대응할 방침이다.

그러나 그 외 다수를 차지하는 선사들의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스크러버와 저유황유를 번갈아 쓰기엔 유동성 부담이 크다. 특히 원양선사와 달리 연안항해 비율이 높아 개방형 스크러버 효과가 크지도 않다. 사실상 저유황유 외에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유류 공급과 유가 안정만을 기대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20년 황산화물 규제 시행 대비 해운부문 체계적 대응 필요' 보고서를 통해 "국적선박의 약 70%인 대부분의 선박들이 저유황유 사용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유황유 가격이 급등할 경우 국내 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수도 있다"면서 "저유황유의 안정적 공급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세정수 규제 지역 확대 움직임은 연안항해가 잦은 중소형 선사에 타격이 있으므로 운항지역을 고려해 (개방형 스크러버) 설치 여부를 신중히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