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5대 대형 건설사, 미청구공사 부담 대부분 감소…1년새 1조원 ↓


입력 2019.04.12 06:00 수정 2019.04.12 06:10        권이상 기자

5개사 미청구 2017년 7조2000억원대에서 지난해말 6조2000억원대로 감소

GS건설 유일하게 매출 확대 등에 따라 미청구공사금액 덩달아 올라

5개사 미청구 2017년 7조2000억원대에서 지난해말 6조2000억원대로 감소
GS건설 유일하게 매출 확대 등에 따라 미청구공사금액 덩달아 올라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상위 5개 건설사들의 작년 미청구공사 금액을 대부분 줄였다. 사진은 한 해외 공사현장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상위 5개 건설사들의 작년 미청구공사 금액을 대부분 줄였다. 사진은 한 해외 공사현장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5위권 내 대형 건설사들의 미청구공사 금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5개 건설사가 보유했던 미청구공사금액이 1년 동안 무려 1조원이나 줄어들며 잠재부실 가능성도 감소했다.

다만 일부 건설사는 진행하는 공사건수와 규모가 늘어나며 상대적으로 미청구공사금액도 늘어났다.

미청구공사는 말그대로 건설사가 선투자로 시공을 했지만, 발주처에 공사비를 요구하지 못한 금액이다.

이는 대부분 설계변경과 공기연장 등에 따른 것이다. 만약 발주처와 시공사 간 이견이 발생하면 온전히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건설사는 미청구공사를 수익으로 기록하지만, 발주처의 지급의무가 없어 잠재적 손실로 취급받고 있다.

1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상위 5개 건설사들의 작년 미청구공사 금액을 대부분 줄였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5위내 건설사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GS건설 순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각 건설사들가 제출한 2018년 말 기준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해보면 2018년 말 기준 5개 건설사의 총 기준 미청구공사 금액은 6조2002억원대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인 지난 2017년 말 기준 미청구공사 금액(7조2503억원)과 비교해 1조501억원이 줄어든 것이다.

시공능력평가 1위인 삼성물산은 지난 2017년 1조2433억원에 달했던 미청구공사금액을 지난해 말 8264억원대로 4000억원이나 줄였다.

5대 건설사 중 미청구공사 금액이 가장 많은 현대건설 역시 1년동안 미청구공사 금액을 무려 3175억원이나 줄였다.

지난해 말 현대건설이 보유한 미청구공사금액은 1조8029억원으로 2017년 2조1204억원에서 1조원대로 감소했다.

해외 플랜트 비중이 높은 대림산업 역시 지난 2017년 1조126억원이던 미청구공사 금액을 지난해 말 9047억원대로 낮췄다.

대우건설도 미청구공사 금액을 개선다. 대우건설의 미청구공사 금액은 지난 2017년 1조3530억원에서 9386억7000만원으로 약 30% 감소시켰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청구공사는 청구하고 받지 못한 돈이 아닌, 아직 청구하기 전 금액으로 관리만 잘하면 문제될 게 없다”며 “하도급 업체에는 가능한 선기성 지급으로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지난해 1년동안 미청구공사 금액이 소폭 늘어난 곳도 있다. GS건설은 작년 말 1조7273억원의 미청구공사 금액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7년 말 1조5209억3000만원 대비 약 12% 증가한 수준이다. 다만 GS건설은 지난해 사상최대 매출과 실적을 낸 것을 보면 매출 대비 미청구공사 규모도 확대된 것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공사진행률 80% 이상의 준공 임박현장의 미청구공사금이 많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GS건설이 진행하고 있는 공사(인프라 부문, 건축·주택 부문, 플랜트 부문 포함) 가운데 진행률 80% 이상인 사업지는 14곳으로, 이 가운데 미청구공사 금액이 있는 사업지는 9곳이다.

9곳의 총 미청구 공사금액은 9907억원으로, 해외 플랜트 비중이 6353억원으로 약 64%에 달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단기보유 미청구공사금액은 재정적으로 큰 부담이 없지만, 수년째 보유한 장기 미청구공사는 재정적 부담뿐 아니라 하도급 업체까지 영향 미칠 수 있어 사전에 관리해야 한다”고 전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