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정비사업 수주·분양 승부수는 역시 시공사 '브랜드'


입력 2019.05.16 06:00 수정 2019.05.15 22:16        권이상 기자

입찰서 낮은 공사비 제시한 중견사보다 브랜드 인지도 높은 건설사 낙점

지자체들 지역 건설사 용적률 인센티브 적용 등 노력 큰 효과 없어

입찰서 낮은 공사비 제시한 중견사보다 브랜드 인지도 높은 건설사 낙점
지자체들 지역 건설사 용적률 인센티브 적용 등 노력 큰 효과 없어


 정비사업 시장에서 브랜드가 성공 열쇠로 통하고 있다. 이는 수주전 뿐 아니라 일반분양에서도 브랜드를 앞세우는 사례가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아파트 전경.(자료사진)ⓒ권이상 기자 정비사업 시장에서 브랜드가 성공 열쇠로 통하고 있다. 이는 수주전 뿐 아니라 일반분양에서도 브랜드를 앞세우는 사례가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아파트 전경.(자료사진)ⓒ권이상 기자

건설사 아파트 브랜드가 정비사업에서 수주는 물론 일반분양 승부를 결정짓는 요소로 자리매김하는 추세다. 특히 시장 여건이 좋지 않아 이와 같은 현상이 짙어지고 있다.

과거만 해도 조합원들의 추가 분담금 부담을 줄여주는 저렴한 공사비와 아파트 미관과 주거여건에 영향을 미치는 특화설계 등이 시공사 선정의 기준이 됐다.

하지만 최근 조합원들은 돈을 더 들여서라도 향후 프리미엄 등 미래가치에 우선을 두고 있다. 이 때문에 브랜드 파워가 부족한 중견사들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일부 지방에서는 지자체들이 지역건설사 선정시 용적률인센티브제 등을 제공하고 있지만, 브랜드 파워가 달리는 중소건설사들의 경쟁력을 높이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정비사업은 사업 특성상 미래를 위한 사업으로 무형 자산인 브랜드 선호 현상이 어느정도는 작용하는 게 사실이지만, 최근에는 시공사의 시공능력보다 브랜드 인지도가 기준이 됐다고 전한다.

16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정비사업 시장에서 브랜드가 성공 열쇠로 통하고 있다. 이는 수주전 뿐 아니라 일반분양에서도 브랜드를 앞세우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 지난 4월 시공사를 선정한 서울 신당8구역 재개발의 경우 대림산업과 동부건설이 입찰에서 맞붙었다.

당시 입찰에 참여한 두 시공사의 총공사비 제안내용은 대림산업이 약 3083억원, 동부건설이 약 2875억원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시공사 선정총회에서 조합원들은 대림산업을 시공사로 낙점했다.

지난달 28일 시공사 선정총회를 개최해 현대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한 서울 강서구 등촌1구역 역시 브랜드가 선택기준이 됐다.

이 사업 입찰에는 현대건설 외에도 한화건설, 반도건설, STX건설 등이 참여했다. 현대건설은 특화설계를, 한화건설은 IoT 등 주거시설, 반도건설과 STX건설은 저렴한 공사비 등을 내세워 조합원의 환심을 사기 위해 노력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조합원들의 눈높이가 높아져 특화설계와 공사비를 저렴하게 제안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완공 후 시세 차익을 더 고려하는 추세다”고 전했다.

브랜드 선호 현상은 지방도 예외가 아니다. 대구 중리지구 재건축, 대전 대사동1구역 재개발, 제주 이도주공1단지 재건축 등 다수 건설사들이 격돌한 사업장에서도 저렴한 공사비를 제시한 건설사가 아닌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를 갖춘 건설사가 시공사로 선정됐다.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일반분양 시장에서도 브랜드 파워가 분양성공 공식의 핵심 조건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건설사들은 브랜드 리뉴얼 등을 통해 주택 브랜드 파워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최근 현대건설은 ‘힐스테이트’의 콘셉트와 디자인을 변경했고, 대우건설은 16년 만에 ‘푸르지오’를 리뉴얼했다. 중견 건설상인 호반건설은 주상복합 전용 브랜드였던 ‘호반써밋플레이스’를 ‘호반써밋’으로 리뉴얼했고, 아파트 브랜드 ‘베르디움’도 디자인을 개선했다.

쌍용건설은 아파트 브랜드 ‘쌍용예가’와 주상복합에 주로 사용하던 ‘플래티넘’을 통합한 ‘더 플래티넘’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달에는 인기 브랜드를 앞세운 정비사업 물량이 줄 이어 업계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이달 정비사업을 통해 일반 분양을 앞둔 곳은 4개 단지 9000여가구에 달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정비사업 조합원들의 선택기준으로 브랜드 파워의 비중이 높아진 것은 아파트를 주거지보다 자산가치로 취급하는 성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며 “그런데 공사비 등을 감안하지 않고 브랜드만을 따지다보면 정작 조합원들이 짊어져야 할 분단금 등 경제적 부담도 늘어나게 될 수 있다는 점을 놓쳐선 안된다”고 전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