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文 김원봉 언급, '좌우통합' 보다는 이념갈등 불씨로


입력 2019.06.07 04:00 수정 2019.06.07 05:39        이충재 기자

文 현충일 추념사 "국군창설 뿌리" 野 "반헌법적 망언"

"보수‧진보 없다"며 통합 역설했지만 오히려 갈등 불씨

文 현충일 추념사 "국군창설 뿌리" 野 "반헌법적 망언"
"보수‧진보 없다"며 통합 역설했지만 오히려 갈등 불씨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을 마친 후 고 성복환 일병 배우자 김차희씨와 함께 고인의 위패를 바라보고 있다.ⓒ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을 마친 후 고 성복환 일병 배우자 김차희씨와 함께 고인의 위패를 바라보고 있다.ⓒ청와대

6일 문재인 대통령의 "애국 앞에 보수와 진보가 없다"면서 '통합'을 강조한 현충일 추념사는 오히려 이념갈등의 불씨로 작용했다.

발단은 문 대통령이 일제강점기 항일무장투쟁을 벌인 독립운동가 김원봉을 언급하면서 부터이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김원봉에 대한 평가를 내놓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이 김원봉에 대해 "국군 창설의 뿌리", "한미동맹의 토대"라고 높이 평가했지만, 김원봉이 해방 이후 북한에서 고위직으로 활동한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라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보수 야당으로부터 쏟아졌다.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보수 야당은 "반헌법적 망언이다", "귀를 의심케 한다"며 비판했다. 반면 여권은 "광복군 운동 자체를 색깔론으로 덧칠하는 일이야말로 역사 왜곡"이라고 옹호했다.

특히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정치권 공방을 넘어 김원봉 서훈 추서를 둘러싼 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행 독립유공자 서훈 기준으로는 북한 정권 수립 등에 기여한 인물에 대해서는 유공자 포상이 불가능 하지만 문 대통령의 언급 이후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김원봉 언급이 좌우 이념을 극복한 애국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번 논란이 김원봉에 대한 서훈 추서 문제로 확대되는 것에 대해 "별개의 문제"라고도 했다.

김원봉은 1898년 경남 밀양에서 출생해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국내 일제 수탈 기관 파괴와 요인암살 등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했고, 1942년에는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다.

하지만 해방 후인 1948년 8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됐고, 같은 해 9월 북한 초대 내각의 국가검열상에 올랐다. 6·25 전쟁 시기에는 '군사위원회 평북도 전권대표'로 활동했고, 6.25 전쟁 공훈으로 북한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