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정부 안전대책에도 ESS 또 화재…"안전점검 소홀" 비판


입력 2019.09.26 07:55 수정 2019.09.26 10:39        조재학 기자

정부 안전발표 후 화재사고 2건 발생

업계, 연이은 화재사고에 ‘노심초사’

정부 안전발표 후 화재사고 2건 발생
업계, 연이은 화재사고에 ‘노심초사’


김정훈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장(오른쪽)이 지난 6월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ESS 화재사고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연합뉴스 김정훈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장(오른쪽)이 지난 6월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ESS 화재사고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ESS 안전강화 대책을 내놓은 이후 두 번째 화재사고가 발생했다. 이번에 불이 난 ESS 사업장은 정부가 발표한 안전대책이 미완료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소홀한 안전점검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24일 화재사고가 발생한 강원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풍력발전소 연계 ESS 사업장은 공통안전조치가 마무리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6월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전기적 보호장치, 비상정지 장치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 각 사업장에서 배터리 만충 후 추가충전 금지, 온도‧습도‧먼지 등 운영환경이 엄격하게 관리되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ESS 사업장은 공통안전조치를 완료하면, 전기안전공사에 결과서를 제출하고 이를 점검받는다. 최종적으로 ESS안전관리위원회가 안전조치완료를 승인한다.

이번에 화재사고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 ESS 사업장은 부분적으로만 안전조치를 실시했으며, 전기안전공사에 결과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안전대책 이후 모든 사이트를 대상으로 안전점검이 진행되고 있다”며 “하지만 1500개가량이 되는 사업소를 모두 점검하기에는 여력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ESS는 태양광·풍력 등에서 발전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후, 필요한 때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배터리, 전력변환장치(PCS), 관리 소프트웨어(BMS, PMS, EMS) 등이 전력흐름을 통합적으로 제어·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전력설비이다.ⓒ산업통상자원부 ESS는 태양광·풍력 등에서 발전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후, 필요한 때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배터리, 전력변환장치(PCS), 관리 소프트웨어(BMS, PMS, EMS) 등이 전력흐름을 통합적으로 제어·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전력설비이다.ⓒ산업통상자원부

ESS안전관리위원회 관계자는 “ESS 현장 점검을 실시하면 운영 중인 사업소에서도 지적사항이 나온다”며 “정부가 권고한 안전조치가 적용됐다면 시스템적으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낮으며, 이미 설치된 배터리의 안전성 강화 대책 마련도 고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안전강화 대책과 함께 ‘ESS 산업생태계 경쟁력 지원방안’을 발표하면서 ESS 업계는 고무적인 분위기였다. 하지만 최근 한 달 새 두 건의 화재가 발생하면서 업계는 불안한 기색이 역력하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 발표 이후 업계는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번 화재사고로 자칫 산업이 큰 타격을 입진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선 최근 발생한 화재 사고원인 조사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다음달 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LG화학‧삼성SDI 경영진이 증인으로 출석해 ESS 화재 원인 및 사후조치와 관련된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조재학 기자 (2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재학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