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오랜만에 서울 리모델링 시공사 선정 활발…재건축 대체는 역부족


입력 2019.09.30 06:00 수정 2019.09.30 05:58        권이상 기자

서울 곳곳 리모델링 조합들 어느때보다 시공사 선정에 적극적

새로이 시장 진입하려는 건설사들 늘지만, 정비사업 대체하기는 규모 작아

서울 곳곳 리모델링 조합들 어느때보다 시공사 선정에 적극적
새로이 시장 진입하려는 건설사들 늘지만, 정비사업 대체하기는 규모 작아


재건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서울 리모델링 사업지가 시공사 선정절차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서울 도심 전경. ⓒ뉴시스 재건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서울 리모델링 사업지가 시공사 선정절차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서울 도심 전경. ⓒ뉴시스

서울 리모델링 아파트들이 오랜만에 연이어 시공사 선정에 나서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 해에 리모델링 단지 2~3곳이 시공사를 선정하는 추세인데, 최근 시공사 선정 절차에 돌입하는 리모델링 단지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업계에서는 리모델링 시장에서 수주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며, 분양가상한제 영향권에서 벗어난 탓에 반사이득을 누리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재건축·재개발에 비해 일반분양 가구수가 적어 수익성이 낮고 내력벽 철거 문제 등 한계가 있어 정비사업의 대체시장으로 자리잡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3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재건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서울 리모델링 사업지가 시공사 선정절차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실제 지난 상반기의 경우 서울 서초구 잠원 훼미리아파트 리모델링 조합이 포스코건설을, 강동구 둔촌현대2차아파트 리모델링 조합이 효성중공업을 시공사로 선정한 바 있다.

이런 분위기를 이어 ▲송파구 문정시영아파트 ▲서초구 잠원동 롯데캐슬갤럭시1차아파트 ▲강동구 둔촌현대3차아파트 ▲동대문구 신답극동아파트 등의 리모델링 단지에서는 시공사 선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하지만 시공사 선정이 순조롭지는 않다. 서울형 리모델링 시범단지 1호 사업인 송파구 문정시영아파트 리모델링의 경우 이달 진행한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이 유찰됐다.

서울시내 1000가구 이상 리모델링 단지로는 두 번째 사업지여서 시공사들의 관심이 많았지만, 상당수 기업들이 사업성 검토 단계에서 발을 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입찰에는 포스코건설 단 한 곳만 참여했다.

반면 신답극동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은 시공사 선정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곳의 시공권을 두고 현재 금호건설과 쌍용건설이 맞붙은 상태다.

조합은 29일 시공사 선정총회를 열고 조합원들의 의결을 거쳐 최종 한 곳을 시공자로 선정한다는 구상이다. 이 곳은 리모델링(수평 증축 방식)을 통해 늘어나는 29가구를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예정 공사비는 약 660억원 규모다.

이와 함께 연내 시공사 선정 가능성이 높아진 곳도 늘어나는 추세다. 송파구 가락쌍용1차는 지난 7월 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를 선정한 이후 지난달 지난달 24일 나우동인건축을 건축설계업체로 선정하고 사업을 본격화 했다.

양천구 목동우성2차는 리모델링 설계업체와 정비업체 선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추진위 단계지만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조합 설립을 위한 주민동의서를 받을 예정이다. 1140가구 규모인 목동우성2차는 수직증축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리모델링 사업이 활기를 찾자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하는 건설사들도 등장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효성중공업이 둔촌현대2차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의 시공권을 따내며 해당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전문가들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의 본격 시행으로 리모델링 사업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 전문가는 “분양가 상한제가 실시되면 서울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은 말그대로 '올스톱'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미 용적률이 높아 일반분양이 적거나 재건축이 사실상 불가능한 사업지들은 리모델링으로 선회하는 사례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그러나 리모델링 사업은 여전히 조합원들의 반대 의견이 많고, 내력벽 철거 허용 등을 기다리는 사업지들이 있어 정비사업 시장을 대체할 정도로 규모가 커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