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올해 2.0%·내년 2.3%' 한은 경제성장률 전망 '와르르'


입력 2019.11.29 13:30 수정 2019.11.29 13:41        부광우 기자

2.6→2.5→2.2→2.0%…올해만 네 번째 하향

내년은 상황 나아지겠지만…회복세 제한 전망

2.6→2.5→2.2→2.0%…올해만 네 번째 하향
내년은 상황 나아지겠지만…회복세 제한 전망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또 다시 내려 잡았다. 올해 들어서만 네 번째 하향 조정이다. 앞으로 경기 여건이 나아지겠지만 내년 성장률도 여전히 2%대 초반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뉴시스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또 다시 내려 잡았다. 올해 들어서만 네 번째 하향 조정이다. 앞으로 경기 여건이 나아지겠지만 내년 성장률도 여전히 2%대 초반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뉴시스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또 다시 내려 잡았다. 올해 들어서만 네 번째 하향 조정이다. 앞으로 경기 여건이 나아지겠지만 내년 성장률도 여전히 2%대 초반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한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로 예상된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인 2.2%보다 0.2%포인트 더 낮아진 수치다.

한은은 최근 수정 전망치를 발표할 때마다 경제 성장률을 낮추고 있다. 지난해 1월만 해도 올해 경제 성장률이 2.9%로 3%대에 가까울 것으로 예측했지만, 같은 해 7월 2.8%에 이어 석 달 뒤인 10월에는 2.7%까지 내려 잡았다. 올해 들어서도 1월 2.6%, 4월 2.5%, 7월 2.2%로 잇따라 예상치를 낮춰오다 이번에 다시 추가 하향 조정에 나선 것이다.

아울러 한은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2.3%로 내다봤다. 올해보다는 상황이 나아질 것이란 관측이지만, 이 역시 올해 7월 전망치(2.5%)에 비해 0.2%포인트 떨어진 수준이다.

이에 대해 한은은 재정정책이 확장적으로 운용되는 가운데 설비투자와 수출이 개선되고 민간소비도 내년 하반기 이후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570억달러, 내년 560억달러, 2021년 52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소비심리 개선과 정부의 이전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완만하게 회복되고, 설비투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투자가 개선되면서 IT 부문을 중심으로 내년에 증가 전환할 것이란 예상이다. 상품수출도 세계교역 개선 등에 힘입어 내년 중 증가 전환될 것으로 봤다. 반면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감소세를 이어갈 것이란 예측이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올해 28만명, 내년 24만명, 2021년 20만명으로 내다봤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제조업 고용 부진이 다소 완화되겠지만, 건설업 고용은 공사물량 축소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할 것이란 설명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0.4%에서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1.0%, 1.3%로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에도 수요 측 물가압력이 약하고 복지정책 기조도 이어지겠으나, 공급 측 물가하방압력이 완화되면서 올해보다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한편,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서울 세종대로 본부에서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1.25%로 동결했다. 올해 들어 이미 두 차례에 걸친 인하를 통해 역대 최저 수준까지 기준금리를 떨어뜨린 만큼,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올린 뒤 올해 들어 5월 회의까지 동결 기조를 이어왔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11월 인상 이후 올해 5월 회의까지 계속 기준금리를 동결해 오다가, 지난 7월과 10월에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또 "이 과정에서 미국과 중국 사이의 무역협상, 주요국의 경기와 통화정책,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전개와 국내 거시경제 및 금융안정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완화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