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홍준표 '통합비대위' 공론화…공은 황교안에게로


입력 2019.12.27 05:18 수정 2019.12.27 05:19        정도원 기자

보수통합 위한 '대권주자 원탁회의' 구상하는 듯

잠룡들 'N분의 1' 참여하면 통합촉진·면모일신

공은 황교안에게 넘어가…통합 급물살 탈지 관심

보수통합 위한 '대권주자 원탁회의' 구상하는 듯
잠룡들 'N분의 1' 참여하면 통합촉진·면모일신
공은 황교안에게 넘어가…통합 급물살 탈지 관심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 등이 지난 23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민통합연대 창립대회에 참석해 '국민통합'과 '분열극복' 등의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 등이 지난 23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민통합연대 창립대회에 참석해 '국민통합'과 '분열극복' 등의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자유한국당의 잠재적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홍준표 전 대표가 '통합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총선을 앞둔 한국당에서 비대위 공론화는 처음이라는 점에서, 어떤 모델을 염두에 둔 제안인지 관심이 쏠린다.

홍준표 전 대표는 26일 페이스북에서 "통합하지 않고서는 총선도 대선도 없다"며 "통합 비대위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날 홍 전 대표는 '통합 비대위를 만들자'고만 했을 뿐, 어떠한 형태의 비대위인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페이스북 글의 전후 맥락을 통해 대강은 유추할 수 있다는 게 정치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홍 전 대표는 "탄핵 잔당이라는 오명을 씻지 못한 게 (문재인정권의 파탄에도 여론이 한국당으로 넘어오지 않는) 이유가 된다"며 "91년 '3당 합당'의 모델을 상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3당 합당'은 1991년 벽두, 신군부 세력인 민정당과 민주화 세력인 통일민주당, 산업화 세력인 신민주공화당이 통합한 사건이다.

민정당은 1987년 대선에서는 '보통 사람'이라는 구호로 신군부 색깔을 희석한 노태우 후보가 양김 씨의 분열에 힘입어 간신히 승리했으나, 이듬해 총선에서는 완패를 면치 못했다. 시대 흐름으로 비춰볼 때도 신군부의 잔존 세력으로 이미지가 고착된 민정당의 정권재창출 가능성은 절망적이었다.

이에 민주화 세력의 적통(嫡統)인 김영삼 총재의 민주당과 산업화 세력을 대표하는 김종필 총재의 공화당을 끌어들여 3개 정당을 하나로 통합했다. 통합 정당 민자당은 92년 대선에서 김영삼 후보를 내세워 김대중 후보를 꺾고 정권재창출을 달성했다.

홍 전 대표가 '3당 합당' 모델을 언급한 것은 탄핵당한 세력인 옛 친박(친박근혜)계가 아직도 한국당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어 국민들로부터의 지지 확장성이 요원하기 때문에, 신군부가 민주화 세력을 수혈했던 그 때처럼 탄핵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운 세력을 폭넓게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 맥락으로 보인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아울러 '3당 합당'을 계기로 민정당이 민자당으로 당명을 바꾸고 '당의 얼굴'로도 차기 대권주자인 김영삼·김종필·박태준 최고위원이 전면에 나섰듯이, 한국당도 통합을 계기로 비대위를 구성해 당명부터 지도부까지 싹 교체함으로써 재창당에 준하는 면모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날 홍 전 대표는 "통합 비대위를 만들자"며 "모두 내려놓고 통합의 길로 가자"고 역설했지만, 최고위를 해체하고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자는 주장이 황교안 대표가 말그대로 모든 것을 내려놓고 2선으로 후퇴하라는 의미는 아닐 것으로 분석된다. 현실정치에 밝은 홍 전 대표가 실현가능성이 전무한 제안을 던졌을 리는 없기 때문이다.

'통합 비대위' 구상은 홍 전 대표가 종래에도 주장했듯 범보수 진영의 여러 대권주자들이 가담하고 황 대표도 'N분의 1'로 참여하는 일종의 '대권주자 원탁회의'식 비대위 구성 제안으로 읽힌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보수당 창당을 추진하는 유승민 의원도 참여함으로써 자연스레 범보수 통합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다.

황교안 대표와 홍준표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전 최고위원, 나경원 전 원내대표 등 한국당 내의 잠재적 대권주자에 유승민 의원과 경우에 따라 안철수 전 대표까지 한국당 밖의 범보수 대권주자까지 포괄하는 '원탁회의'식 비대위를 구성하자는 것은 완전히 새로운 주장은 아니다. 몇몇 잠재적 대권주자들도 사석에서 이같은 구상에 공감한 적도 있다.

다만 이같은 구상이 공론화된 것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이날 오전 배현진 서울 송파을 당협위원장을 통해 "통합 필요성"을 호소했던 황 대표의 회답이 주목된다는 지적이다.

황 대표도 지난 1월 29일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2·27 전당대회 출마선언을 할 당시 "대권후보를 비롯한 당의 중심인물들이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칭 '대통합정책협의회'를 만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제 공은 황 대표에게로 넘어갔다. 이날 오전 통합 호소 메시지를 냈던 황 대표가 홍 전 대표의 '통합 비대위' 제안에 어떤 회답을 내놓느냐에 따라 대통합은 급물살을 탈 수도 있고, 반대로 지난 11월 6일 보수우파 대통합 제안처럼 '그냥 당일 뉴스'로 흐지부지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결국 보수통합의 '키'는 황교안 대표가 쥐고 있다. 황 대표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답이 무엇이냐가 관건"이라면서도 "'여러 당원들이 하는 말에 일일이 대응하면 내 일을 못한다'는 식으로는 범보수 대통합에 앞서 당내 통합부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