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중형 조선사, 입지 좁아져 '한숨'…선가 하락·수주 감소에 비상


입력 2020.02.20 06:00 수정 2020.02.19 17:12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작년 수주 49만CG(21척)…전년 보다 23.2% 감소

중국·일본과 경쟁 치열…올해도 작년과 비슷할 듯

STX조선해양에서 건조한 중형 석유화학제품운반선ⓒSTX조선해양 STX조선해양에서 건조한 중형 석유화학제품운반선ⓒSTX조선해양

지난해 글로벌 선박 발주가 급감하면서 중형 조선사들의 수주가 2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STX조선, 대한조선 등 중형 조선사들은 탱커(유조선), 피더 컨테이너선(3000TEU급 이하)을 중심으로 수주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중국·일본과의 경쟁 심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 금융권 등의 지원이 함께 가야 한다는 분석이다.


20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표한 '중형 조선사 2019년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형 조선소의 지난해 수주량은 전년 보다 23.2% 감소한 49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21척)에 그쳤다.


특히 작년 하반기로 갈수록 수주가 감소했는데 4분기엔 대한조선 수에즈막스(15만톤급) 탱커 2척, STX조선 MR(5만톤급) 탱커 2척 등 10만9000CGT(4척)로 전년 보다 53.6% 급감했다.


수주액도 9억1000만달러로 전년 보다 25.0% 감소했다. 수주 규모 감소로 중형 조선수주액이 국내 신조선 전체 수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4.4%에서 작년 4.1%로 0.3%p 떨어졌다. 2010년 한 때 11.7%를 차지했던 중형 조선 비중은 시황 부진으로 2018년부터 2년 연속 4%대에 머물고 있다.


중형 조선소는 상선 길이 100m 이상, 1만dwt(재화중량톤수)급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특수선 등의 강선을 건조하는 조선소로 대한조선, 대선조선, STX조선, 한진중공업 등이 있다.


이 같은 수주 감소는 글로벌 조선 시황이 크게 위축된 탓이 크다. 글로벌 중형 선박 발주량은 719만CGT(399척)로 전년 보다 46.7%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신조선 발주량(2529만CGT) 감소폭인 27.0%를 크게 웃돈다.


양종서 해외경제연구소 박사는 "중형선박 발주 위축은 전체 신조선 시장의 발주 감소폭 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면서 "전체 신조선 시장에서 크루즈선과 LNG선 등이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인 반면 중형 선종에서는 부진을 보완할 선종이 없었던 점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해외경제연구소 ⓒ해외경제연구소

지난해 중형 선박 발주는 탱커(유조선)가 대부분이었다. 중형 컨테이너선 발주량이 81만CGT(55척)로 전년 보다 66.0% 감소했고, 20만dwt 미만 벌크선 발주량은 332만CGT(198척)로 51.5% 급감했다.


반면 중형 탱커 발주는 284만CGT(130척)로 전년 대비 15.8% 줄어들면서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폭을 나타냈다.


국내 중형 조선사들의 수주 선종도 대부분 탱커였다. 21척 중 16척이 탱커로 비중이 80%에 육박한다. 나머지 수주 선종은 중형 컨테이너선 3척, 여객선 1척, LPG선 1척이었다.


지난해 말부터 떨어지는 신조선가는 올해 중형 조선사들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MR 탱커는 지난해 11월까지 3400만달러를 유지하다 12월에 3375만달러로 떨어졌다. 2000TEU급 피더 컨테이너선은 지난해 7월까지 2650달러가 유지되다 12월 현재 2525만달러로 하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수주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됐다. 양종서 박사는 "올해 중형 조선사들은 탱커, 피더 컨테이너선 등에서 지난해와 비슷하게 수주할 것"이라며 "만일 폐선 규모가 늘어나면 이전 보다 개선될 수는 있으나 국내 조선사 여건상 변동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더욱이 중형 중국, 일본 등과의 경쟁 심화로 안정적인 경영활동이 어려운 만큼 전방위적인 측면 지원이 절실하다는 판단이다. 정부와 지자체들의 선박 발주와 함께 금융권에서는 선수금 환급보증(RG) 등으로 조선소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