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한국GM 노조, 83% 쟁의행위 찬성…드리우는 파업 '전운'


입력 2022.08.17 16:10 수정 2022.08.17 23:21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17일 쟁의행위 찬반투표서 찬성률 83%로 가결

임금 인상 및 전기차 생산 거점 유치 놓고 압박 거세질 듯

한국GM 파업 시 車업계 '연쇄 파업' 우려도

인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에서 머리에 띠를 두른 노동조합원이 걸어가고 있다. ⓒ데일리안DB. 인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에서 머리에 띠를 두른 노동조합원이 걸어가고 있다. ⓒ데일리안DB.

한국GM 노동조합이 쟁의행위(파업) 확보를 위해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조합원 83.0%가 찬성했다.


노조가 실제로 쟁의 활동을 벌일 경우, 반도체 대란으로 고전중인 자동차업계가 노조 리스크마저 겹쳐 타격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GM 노조는 총원 7622명 중 6797명이 참석(투표율 89.2%)한 가운데 열린 쟁의행위 결의 찬반 투표에서 6329명이 찬성표를 던져 가결됐다고 17일 밝혔다. 투표자 대비 찬성률은 93.1%, 총원 대비 찬성률은 83.0%다.


앞서 노조는 쟁의권 확보를 위해 이달 16일~17일 이틀에 걸쳐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투표 대상은 한국GM 노조 부평·창원·사무·정비지회 등에 소속된 조합원 7622명이다.


노조는 사측과 추가 교섭을 거쳐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노동쟁의조정신청도 할 예정이다. 중노위는 노사 간 조정을 시도한 뒤 조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조정중지 또는 행정지도 결정을 내린다.


쟁의행위에 찬성하는 조합원의 비율이 절반을 넘긴 상황에서 중노위 조정중지 결정이 나오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 등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는 지난 6월 23일부터 이날까지 사측과 11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의견 차이가 좁히지 못하면서 쟁의권 확보 수순을 밟고 있다.


노조는 기본급 월 14만2300원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400% 성과급(1694만원 상당) 등을 사측에 요구하고 있다. 또 부평 1공장·2공장과 창원공장 등 공장별 발전 방안과 함께 후생복지·수당, 비정규직 노동자 관련 별도 요구안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오는 11월 이후 가동을 멈추는 부평2공장과 관련해 전기차 생산 거점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측은 2014년부터 내리 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노조의 요구를 모두 받아들이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한국GM은 지난해에만 3760억원의 영업손실을 보는 등 8년간 누적 손실액이 3조원을 넘어선다.


2011년 한 해 판매량 80만대(내수 14만대, 수출 66만대)를 넘어서던 것이 줄곧 감소해 작년에는 23만대(내수 5만대, 수출 18만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로 생산·판매에 타격을 입은 데 이어 반도체 공급난까지 겹치며 직격탄을 맞았다.


쪼그라든 입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차량 판매를 끌어올려 흑자 기조를 만드는 것이 급선무다. 5월 말 새로 부임한 로베르토 렘펠 한국GM 사장이 줄곧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성장'을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임금협상 뿐 아니라 노조가 주장하는 전기차 생산 유치에 대해서도 노사간 입장 조율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부평 2공장에서는 트랙스와 말리부를 생산중으로, 연말 가동 중단 수순을 밟는다. 노조는 부평2공장을 전기차 생산 거점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렘펠 사장은 지난 6월 가진 노조 확대간부 합동회의에서 "전기차 생산 계획은 없다"고 못박으며 "현재 투자 중인 신차(CUV)에 집중하고 수입 전기차 판매를 확대하겠다"고 밝혀 난항이 예상된다.


더욱이 한국GM은 2025년까지 한국에 출시할 10종의 전기차를 전량 수입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전기차 생산 유치를 두고 노사간 불협화음이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노조가 파업에 나선다면 고스란히 생산 차질로 이어진다. 생산 손실 누적 대수도 더 늘어나면서 한국GM이 내건 올해 손익분기점·내년 흑자 계획도 물거품이 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대란으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 리스크까지 확산될 경우 한국GM 상황은 지난해 보다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