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유통 고환율 쇼크①] 패션·뷰티업계 “유럽서 원단·부자재 수입…영향 제한적”


입력 2022.08.31 07:29 수정 2022.08.30 16:14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환율, 13년 4개월만에 1350원 돌파…연말엔 1500원까지 전망도

패션 브랜드마다 환율 등 리스크 헷지 대비…일각선 매출 타격 우려도

달러.ⓒ연합뉴스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공급망 혼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더해 미국 등 주요국의 공격적인 긴축 등 원인은 다양하다. 여기에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13년 4개월 만에 1350원을 돌파했다. 환율이 급등하면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수입 부담이 늘어나 기업들의 경영 전반에 적잖은 타격을 끼칠 수 있다. 고환율 현상이 유통가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각 업권별 상황을 짚어보고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주]


원·달러 환율은 고공행진 중이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에 미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파월 의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당분간 제약적인 통화정책 스탠스 유지가 필요하다”며 “단 한번의 물가지표 개선만으로는 물가상승률이 내려갔다고 확신하기에는 한참 모자란다”고 언급했다.


앞서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 6월과 7월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여기에다 오는 9월에도 최소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당분간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유로존 에너지 가격 급등과 중국 경기침체가 심화돼 유로화, 위안화의 추가 약세 흐름이 이어질 경우 환율이 1400원을 넘어 1500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패션 주요 수입 브랜드, 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럽 중심


패션업계는 최근 환율 움직임이 큰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패션업계 대부분이 의류·액세서리 원단이나 부자재를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유럽에서 공수해오는 데다 유로화로 결제하기 때문에 환율 급등에 따른 타격이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해외 수입 브랜드도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브랜드가 주류인 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편이다.


해외 유명 브랜드를 수입·판매하는 패션업체 관계자는 “국내 대부분 패션업체들이 유럽 거래가 많고 유로화로 결제를 하기 때문에 환율 상승이 큰 영향을 줄 만큼 위협적이지는 않다”며 “특히 환율이나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헷지(위험 회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패션업체 관계자는 “미국 거래 비중이 높아 환율이 영향을 받는다고 해도 올 가을·겨울(FW) 시즌은 이미 기획 후 생산을 마친 만큼 별다른 영향이 없다”며 “달러 강세가 장기화될 경우 내년 봄·여름(SS) 시즌부터 타격을 받겠지만 각 브랜드마다 제품 가격 상승 장벽(허들)이 있어 많이 올릴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높아지는 원재료 비용 부담·환차익으로 매출 상승, 서로 상쇄


뷰티업계 역시 환율 상승에 따른 매출 악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패션업계와 마찬가지로 수출 국가에 따라 해당 국가의 현지 통화로 결제를 한다. 특히 환율 상승으로 원재료 수입 비용이 늘어나지만 달러로 결제를 받아 원화로 환산하면 실적이 증가해 비용 부담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달러로 원재료를 수입하는 만큼 원재료 수입 비용 부담이 커지는 영향이 있지만 반대로 해외매출의 경우 달러를 원화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환차익을 얻는다”며 “환율 급등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는 셈”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봉쇄, 원자재 가격 급등과 물류비에 이어 환율 상승까지 가중되면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다른 뷰티업계 관계자는 “중국 봉쇄와 원자재·물류비, 국제 원물 급등에 인도네시아 팜유, 환율까지 국제적으로 힘든 상황”이라며 “달러 강세로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있는 만큼 해외법인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 기간에 해결하기 힘든 국제적인 이슈인 만큼 단가 협상 등 다양한 리스크 방안을 강구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유통 고환율 쇼크②] 면세업계, 여행 제한에 가격 역전현상까지 '이중고'>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