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반기 든 장남 임종윤…한미약품 '남매의 난' 본격화


입력 2024.01.16 10:41 수정 2024.01.16 10:44        김성아 기자 (bada62sa@dailian.co.kr)

장남 임종윤, 한미-OCI 통합 ‘반기’ 공식화

상속세 마련 방법부터 엇갈려, 모녀 VS 형제

가처분 신청도 불사…지주사 지분 51% 확보 목표

(왼쪽부터) 임주현 한미약품 사장 및 임종윤 코리그룹 회장 겸 한미약품 사장 ⓒ한미약품그룹

한미약품그룹과 OCI그룹의 그룹 통합이 결국 경영권 분쟁의 도화선으로 변모됐다. 당초 양 그룹은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이종(二種)산업간 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자 했으나 오너 일가 내부에서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면서 그동안 수면 아래 있던 경영권 분쟁을 가시화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그룹 창업주인 고(故) 임성기 회장의 장남 임종윤 코리그룹 회장은 12일 한미약품그룹과 OCI그룹의 통합 발표 이후 약 사흘간 SNS,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그룹 통합에 대한 반기를 들었다.


임종윤 회장은 이번 통합 계약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우선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과 장녀 임주현 한미약품 사장 외에도 대주주라고 할 수 있는 본인과 차남 임종훈 한미정밀화학 사장, 임성기 회장의 절친이었던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을 ‘패싱’하고 이루어진 ‘밀실 계약’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특히 이번 계약을 통해 한미사이언스로 흘러들어오는 7000억원가량의 재원이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사장에게 걸려있는 3000억원대의 상속세를 해결하기 위한 총알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미그룹 오너 일가는 2020년 임성기 회장의 타계 이후 아내인 송영숙 회장을 비롯, 장남 임종윤, 장녀 임주현, 차남 임종훈 총 4명에게 상속된 한미사이언스 지분 34.29%를 두고 약 5000억원의 상속세를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받았다. 송회장 2000억원, 자녀 각 1000억원 수준으로 ‘연부연납제도’를 통해 5년간 분할납부하기로 했다. 연부연납제도는 세금을 수년간 나누어 매년 1회 납부하는 제도를 일컫는다.


한미약품 본사 전경 ⓒ한미약품그룹

모녀와 형제들의 길은 여기서부터 갈라졌다. 당초 한미사이언스 공동대표였던 임종훈 회장은 2022년 돌연 대표 자리에서 내려온 후 개인 회사인 코리그룹과 바이오벤처 디엑스앤브이엑스(Dx&Vx) 경영에 집중했다.


반면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사장은 그룹 내 활발한 경영 활동을 펼쳤다. 상속세 역시 형제들과는 별개로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라데팡스파트너스와 손잡았다. 지난해 라데팡스파트너스는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사장의 한미사이언스 지분 11.8%를 약 3200억원을 투자해 인수하기로 계약했다. 해당 계약 규모는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사장의 상속세 규모와 정확히 맞먹으면서 상속세 재원 마련 성격으로 기정사실화됐었다.


다만 라데팡스파트너스가 MG새마을금고 뱅크런 영향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모녀의 상속세 해결은 미뤄졌으나 이번 그룹 통합 자문 역할을 하며 끝까지 모녀의 상속세 해결을 책임졌다. 이 과정에서 임종윤, 임종훈 형제는 ‘쏙’ 빠졌다.


임종윤 회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따로 상속세 납부를 위한 재원 마련을 해왔다고 밝혔다. 향후 경영권 확보를 위해 동생 임종훈 사장은 물론 신동국 회장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이어나갈 것이며 코리그룹 등 개인 회사를 통해 지분 매입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임종윤 회장은 한미사이언스 51% 지분 확보를 목표로 두고 뭍밑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법적 대응도 불사한다. 임종윤 회장과 임종훈 사장은 이번 그룹 통합 계약에 대한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 절차에 조만간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오너 2세간 경영권 분쟁상황에서 이뤄진 3자배정 유상증자이기 때문에 법적 효력이 없다는 것이 가처분 신청의 배경이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임주현 사장과 임종윤·임종훈 사장간의 갈등은 제약업계 내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업계에서는 터질 일이 터졌다고 보고 있지만 현재 한미약품이 비만신약 등 국내 제약업계에 기여할 만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경영권 분쟁의 여파가 파이프라인 진행의 지연 등으로 이어지지만 않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김성아 기자 (bada62s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