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연 10조원’ 외식업계,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정산주기 협의 지연에 속앓이


입력 2024.10.23 07:04 수정 2024.10.23 07:04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4월 민관협의체 출범 이후 눈에 띄는 진전 없어

이커머스 중심 정산주기 단축...‘사각지대’ 우려도

서울 시내 한 식당에서 종업원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뉴시스

배달앱 중개수수료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외식업계가 이번엔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 문제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접 결제 대신 모바일 상품권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매장 보다는 배달 매출 비중이 늘면서 변화된 환경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 통계에 따르면 전자(e)쿠폰 서비스 거래액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4조원에서 작년 9.8조원으로 약 3배 증가했다.


모바일 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분야는 다양하지만 그중 프랜차이즈 등 외식 분야 비중이 높은 편이다.


모바일 상품권은 소비자 입장에 편의성이 높고 거래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식업계는 높은 수수료와 긴 정산주기로 인해 수익성 부담이 갈수록 크다는 입장이다.


외식업계에 따르면 모바일 상품권의 평균 수수료는 7~8%대에서 최대 10%가 넘는 것도 있으며 정산 주기는 최대 45일에 달한다.


최근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이후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정산주기를 20일 내로 단축하고 판매대금 50% 이상을 금융기관에 예치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된 바 있다.


반면 연 10조원에 달하는 모바일 상품권에 이 같은 대안에 있어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기간이 경과되면 구매액의 90%만 환불되고 10%는 환불 수수료 명목으로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는데, 이러한 높은 환불 수수료에 대해서도 소비자단체 등을 중심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4월 ‘모바일 상품권 민관협의체’를 출범, 모바일 상품권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쟁점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고 있다.


카카오, 11번가, KT알파, 섹타나인, 쿠프마케팅 등 유통‧발행사는 물론 한국온라인쇼핑협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의 소비자‧가맹본부‧가맹점 단체가 참여한다.


하지만 출범 이후 3차례에 걸친 회의에도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자영업 단체가 가장 먼저 요구하는 것이 수수료율 인하와 정산주기 단축인데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공정위와 중소벤처기업 등 정부에서도 참여하고 있지만 정부가 일방적으로 수수료율을 정할 수 없다 보니 대책을 마련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올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배달앱 중개수수료 문제와 비교해서도 미진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배달앱 상생협의체의 경우 7월에 시작해 현재까지 7번의 회의를 거쳤다. 여전히 양측의 이견이 크지만 배달앱 측에서 매 회의 때마다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어 조금이나마 진전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모바일 상품권 민관협의체 회의의 경우 공회전 만 계속하고 있다 보니 가맹점 단체 등 일부 참석자들 사이에서는 탈퇴 움직임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수수료율을 최대 4~5% 범위 내에서 차등화하고 정산기간을 단축해주기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카카오가 연내 정산기간 단축 방침을 밝힌 만큼, 시행 이후 유통사의 가맹본부 대상 정산기간 단축도 신속하게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민관협의체를 통해 수수료율 부과 기준을 공개, 수수료율 합리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외식업계 한 관계자는 “외식 가맹점주가 소비자가 사용한 모바일 상품권 대금을 받기 위해서는 발행사와 중간 벤더사, 가맹본부를 거쳐야 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서 “중간 벤더사가 문제가 있을 경우 티메프 사태처럼 대형 문제로 터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작년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올 4월 협의체가 생겼지만 1년이 지나도록 바뀐게 없을 정도로 지지부진 하다”며 “정산주기 단축 등 대안도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적용되다 보니 우리는 사각지대에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티메프 사태 이후 일부 벤더사에 재무 문제로 인해 해당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등 모바일 상품권 판매가 한 동안 중지되기도 했다.


한편 모바일 상품권 시장은 발행사, 유통사, 가맹본부, 가맹점, 소비자 등 관련된 주체가 많고 단계가 복잡해 배달앱 수수료 문제보다 해법을 찾기가 더 어렵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