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2010년 및 2014년의 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하면서 비용 및 기업 또는 단체 등에서 받은 후원금을 아직도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어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강원도는 지난해 11월 도의회 행정사무감사 자료에서 2010년 163억5100만원, 2014년 351억1500만원 등 총유치비용 514억6600만원을 공개했으나, 구체적인 증빙자료 등은 2018년 유치전략을 이유로 공개치 않고 있어 일각에서 그 집행을 축소, 은폐하고 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후원금은 강원도가 지난해 157억7300만원이라고 공개했으나, 2일 춘천 모 방송은 기업과 단체 등의 취재를 통해 후원 기업 및 단체는 총 70여개로, 확인된 51개 기업에서 164억2900만원을 후원했다며, 후원금은 160억원이 훨씬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진선 강원도지사는 지난해 9월 3일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재도전을 천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유치위원회가 유치비용의 정산과정에 있으며, IOC가 정한 회계법인에서 감사를 거쳐 IOC에 보고되며, 정산이 완료되면 지출내역을 공개 투명성을 확보하겠다고 언급했다.
또한 김 지사는 이날 유치비용의 구성비율에 대해 총 5(100%)라면 국비 1.5(30%), 도비 1.5(30%), 후원금 2(40%)라고 밝혔다.
김 지사가 지난해 9월 밝힌 유치비용 구성비율에 따르면, 후원금은 2010년은 약65억4000만원, 2014년은 약140억4600만원으로 총 205억8600만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김 지사가 기자회견에서 스스로 밝힌 후원금 구성비율이 정확하다면, 지난해 밝힌 후원금 157억7300만원보다 48억1300만원을 후원금으로 더 받았다는 결론이다.
두 번의 동계올림픽유치에 따른 구체적인 집행내역을 일년이 지난 현재까지 밝히지 않는 것은 2018년 재도전의 유치전략상의 이유를 들고 있으나, 지난해 기자회견에서 김 지사가 이를 공개, 투명성을 확보하겠다는 말과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3일 춘천시민연대와 진보신당강원도당이 축소와 은폐의혹을 밝히라는 성명을 내는 등 파문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