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서비스협력사 대표들 "헐~ 우리가 바지사장?"
대책위 긴급 기자회견 개최…"정치권 불법파견 의혹 근거없어"
삼성전자 서비스업체들이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 자신들을 '바지사장'으로 몰아부치면서 생존권을 위협해오자 그동안 침묵을 깨고 반박의 포문을 열기 시작했다.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경영자 생존대책위원회는 지난 21일 서울 마포구 대흥동 경총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은수미 민주당 의원 등이 우리를 바지사장, '짝퉁 을(乙)' 이라며 근거없는 불법파견 의혹을 제기해 하루 아침에 유령회사가 돼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앞서 은수미 의원 등은 최근 삼성전자 자회사인 삼성전자서비스가 제품 수리 등을 담당하는 협력업체 직원을 직접 선발해 관리하면서도 고용상 책임을 협력업체에 전가하는 위장도급으로 노동법과 공정거래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대표들은 "경력직원들은 우리(협력업체들)가 생활정보지에 채용 광고를 내 직접 선발하며 신규 인력은 삼성전자서비스와 협약을 맺어 위탁교육과 채용을 병행한 것일 뿐"라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 불법파견의 증거로 제시된 '원청의 신입사원 채용 대행'은 노동부의 '국가인적자원컨소시엄'을 잘못 이해한 것이었고 '원청의 사원코드 부여'는 수리 요청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접속 ID를 오해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불법파견을 주장하는 이들은 현대자동차와 이마트, 대우일렉서비스 등을 언급하며 저희 회사도 유사한 형태이고 심지어 더 심각한 문제라고 호도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저희는 원하청이 같은 공간에서 일하지도 않고 개인 사업자들이 원청과 직접 계약하는 형태도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대책위는 정치권의 개입을 반대한다는 의견도 분명히 했다.
대책위는 "국회의원은 균형잡힌 사고로 국가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자리"라며 "더 이상 정치적 목적 또는 일방 주장만 듣고 개별 기업 문제에 직접 개입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