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말아야" 54% "야당 역할 잘못해" 72%
국감은 코앞인데 돌아갈 명분도 못찾고 '난감'
민주당이 1일 국회 국가정보원(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국정조사특위가 증인·참고인 채택문제로 파행된 것에 항의, 서울광장 앞 장외투쟁에 나선지도 (16일 기준) 보름을 넘겼다. 특히 국정원 국조 관련 여야 간 협의과정에서 좀처럼 주도권을 잡지 못했던 민주당은 “참을 만큼 참았다”며 투지를 불태웠지만 보름간의 장외투쟁 성적이 그리 낙관적이지는 못한 모양새다.
이는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8월 둘째 주 한국갤럽 정기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민주당 장외투쟁에 대해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또한 같은 조사에서 민주당의 야당 수행역할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무려 72%나 돼 장외투쟁을 통해 여론의 힘을 모으겠다는 민주당의 기대에 크게 벗어나는 수치다.
민주당의 부진은 장외투쟁 시작부터 그 불안감이 감지돼왔다.
민주당은 장외투쟁 첫날인 지난 1일 무단으로 서울광장에 천막당사를 설치해 서울시로부터 변상금을 무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이에 민주당은 서울시의 결정에 즉각 수용하면서도 ‘부득이 한 사정으로 인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항변만 늘어놓았다.
당시 박용진 민주당 대변인은 민주당이 조례를 어기면서까지 천막당사를 설치한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5일 전에 신고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하는데 당시는 여야가 NLL관련 정쟁 중단을 이야기하던 때라 서울광장의 천막본부를 생각하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고 해명했다.
그는 이어 “또 미리 조례에 따라 5일전에 신고했더라면 국회파행을 미리 준비했다는 얘기밖에 안 되기 때문에 지금은 시민 권리를 지키기 위한 (우리의) 불가피한 상황 정도로 봐달라”고 말해 ‘장외투쟁’이 꼼꼼한 준비과정 없이 급진적으로 추진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날 오후 7시에는 약 20여명의 신원을 알 수 없는 촛불단체 회원들이 등장, 취재기자들을 향해 욕설을 퍼붓는 등 난동을 피우는 사건도 발생, 자칫 민주당의 장외투쟁이 일부 잘못된 폭력 집회세력에 의해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튿날부터 천막당사 출입기자들 전원에 선크림을 건네는 등 장외투쟁 장기화를 공공연히 시사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평일 천막당사를 찾는 당 의원들의 수는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출입기자들의 발걸음도 잦아들었다. 장외투쟁이 시작된 8월 첫 번째 주의 경우 평균 약 30~40명 이상의 기자들이 천막당사를 찾은 반면, 보름을 넘긴 16일에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참관한 기자들은 그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 사이 빈 기자실을 메우고 있는 사람들은 순번제에 따라 자리를 지키고 있는 민주당원들과 시청 앞 햇빛을 피해 앉아계시는 노인들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천막당사 앞에 마련된 국정원 개혁 서명운동 부스에는 사람이 붐비는 주말을 제외하고는 시민들의 방문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
특히 지난 7일에는 민주당 천막당사에서 겨우 20미터 떨어진 곳에 설치된 일회성 ‘물 테스트 행사’ 와 비교해 시민들의 관심에서 현격하게 밀리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