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선 장관 "위안부 문제, 일본의 진정성 담긴 사과 있어야"
"위안부 문제 해결 못하면 분쟁지역 성폭력 해결할 수 없어"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11일 오전(현지시각) 유엔 총회에서 “일본군 위안부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당사국의 진정성이 담긴 사과와 책임 있는 이행조치,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는 것”이라며 일본 정부의 사과와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을 방문 중인 조 장관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 여성부 장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주제로 연설, 현재 국내에 생존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만나 나눈 얘기를 바탕으로 위안부 강제 모집과 동원 과정, 당시 생활 등 참상을 생생하게 전했다.
조 장관은 연설 시작부터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전 세계 분쟁지역에서 성폭력이 여전히 자행되는 것은 과거에 저지른 범죄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1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위안부 피해자 중에서 한국인은 56명만이 생존해 있다”며 “10대 어린 소녀에게 씻을 수 없는 아픔을 준 당사국의 사과와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조 장관은 또 “사과는 과거의 잘못을 탓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면서 “사과는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한 용감한 노력이자 약속”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자신들이 저지른 범죄에 대해 증언할 사람이 아무도 남지 않게 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는 중대한 실수임을 분명히 밝힌다”며 “역사의 모래시계는 늘 다시 뒤집어 세워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특정 국가 사이의 단순한 외교적 분쟁이 아니다”며 “위안부 문제를 올바로 해결하지 못한다면 분쟁 지역의 성폭력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목소리는 힘을 잃을 것이며, 우리는 이를 영영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일본의 에모모토 가즈요시 유엔차석대사는 답변권을 행사해 “일본은 역사의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여 통절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해 왔다”며 “위안부 문제는 한일협정에 의해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반박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