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대의 이제는 품격>김연아 이왕 IOC위원 도전할거면 고품격 매너로 무장해야
동계올림픽과는 달리 하계올림픽은 거친 열기 대신 시종일관 긴장감을 유발시킨다. 얼음과 눈, 그리고 맨몸이 아닌 도구를 사용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이겠다. 한국으로선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아 쥐었지만 빅토르 안과 김연아라는 한국인 두 남여가 주연한 한 편의 드라마였다. 그 중에서도 러시아에 귀화해서 4개의 메달을 거머쥔 빅토르 안이 단연 화제였다.
파장은 고스란히 한국으로 튀었다. 올림픽 기간 내내 그가 러시아로 귀화한 배경을 두고 온갖 소문과 억측이 난무하고 대통령까지 나서 한 마디 거드는 바람에 솔직히 이번 소치 올림픽에 대해 개운한 기억을 가진 한국인은 별로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빅토르 안은 진정한 올림픽 영웅이 되었고 러시아는 종합우승으로 개최국의 체면을 살렸다.
만약 빅토르 안이 이번에 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했다면? 당사자로선 상상만 해도 끔찍한 일이겠다. 그런 무거운 강박증을 극복하고 일궈낸 성과이기에 그 어떤 메달보다도 값진 것이겠다. 무엇보다 그의 선택이 지혜로웠다. 하필이면 생소한 러시아! 개최국의 이점과 적극적인 후원을 노린 것이겠다. 아무렴 한국이 내다버린 퇴물을 가져다가 3관왕으로 길러낸 러시아가 위대했다. 신뢰가 가장 큰 힘임을 증명해준 사례였다.
신(新)고려인, 빅토르 안의 탄생
한국인에게 빅토르 안의 러시아로의 귀화는 아직도 생소하기만 하다. 그가 비록 4개의 메달을 러시아에 안겨줬다고 해서 진정한 러시아인으로 받아들여질까 하는 의구심을 떨쳐버리기 쉽지 않다. 작은 반도에서 누천년 이민족과의 섞임 없이 살아온 한민족에겐 ‘귀화’란 단어는 언제나 어색할 수밖에 없겠다. 실은 미국으로의 ‘이민’과 다를 바 없는 데도 말이다.
대체로 작은 나라의 민족들은 포용력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인종적 문화적 포용력은 대국만이 가질 수 있는 중력이자 관성이기 때문이다. 해서 대국적 관용과 포용력을 배우고자 하지만 여간해서 그게 잘 안 된다. 한국인의 배타적인 기질이 반드시 굴곡진 역사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만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빅토르 안이 첫 우승을 했을 때 그는 빙판에 엎드려 키스를 했다. 절체절명의 찬스에서 대지에 입맞춤으로써 러시아인들과 완벽하게 소통을 해낸 것이다. 바로 그 순간 그는 ‘우리 러시아인 빅토르 안!’으로 모든 러시아 사람들에게 각인되었다. 예전에 교황으로선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던 요한 바오르 2세가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땅에 키스한 것을 연상하면 되겠다. 빅토르 안이 러시아에서 경기력만 키운 것이 아니라 인격적으로도 엄청난 성장을 한 것이다.
러시아인들의 대지에 대한 애착은 다른 어떤 민족보다 강하다. 그 입맞춤 하나로 진정한 러시아인으로 받아들여짐은 물론 주류사회로 곧장 진입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이제 한러관계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부상했다. 한국에서 그만한 인물을 어느 세월에 길러내겠는가? 아무렴 그로 인해 러시아 연방에 흩어져 사는 고려인들도 큰 자부심을 얻었으면 좋겠다.
열린 세계관으로 빅토르 안을 끌어안아야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 일본의 아베 총리는 소치 개막식에서 치열하게 외교전을 펼쳤지만 한국은 다음 개최국이면서도 대통령이 가지 않았다. 겨우 축제가 다 끝나갈 무렵 국무총리가 한국 선수단과 방송팀을 격려차 둘러보고 폐회식 리셉션에 참석하는 게 고작이었다.
미래를 내다보고 역으로 생각하면 지금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그 답은 명확하게 나온다. 승자가 답이다. 이젠 우리가 그에게서 배워야 한다. 아니 그에게 빌붙어 러시아를 배우고 러시아와 가까워져야겠다. 체면이니 자존심이니 하는 소모적 논쟁은 이제 젖혀두고 보다 적극적이고 우호적으로 그를 키워나가야 한다. 연기처럼 사라져버린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을 생각해보면 답이 나오겠다.
그는 다음 평창 동계올림픽에도 선수로든 코치로든 참가할 것이다. 한러 간에 그의 영향력은 한국의 그 어떤 IOC위원보다 크다. 대통령은 기회가 되면 그를 청와대에 초청해서 오찬을 나누는 등 진정한 영웅으로 대접했으면 한다. 그가 빙상계를 넘어 문화, 정치적으로도 큰 힘을 지니도록 밀어줘야 한다. 그리하면 언젠가는 그가 이번에 러시아에 헌납한 금메달들보다 몇 만 배나 더 값진 일을 모국을 위해 해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