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새정치가 무공천하니 기호 3번 통진당이 얼씨구?


입력 2014.04.05 10:16 수정 2014.04.06 09:36        조소영 기자

기호 1번 새누리 바로 다음으로 통진당 찍혀

"유권자 수준 높아져 옛날 얘기" 반박 목소리도

6·4 지방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온 2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 설치된 지방선거 사전투표 체험관에서 김태환 안전행정위원장과 소속 의원들이 신형 투표지분류기의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 ⓒ데일리안

새정치민주연합이 6.4지방선거에서 지난 대선 당시 내놓은 기초선거 무공천 공약을 지키겠다는 방침을 내리면서 통합진보당이 이 부문에서 약진할 발판이 마련되는 것 아니냐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무공천 결정에 따라 기호 3번인 통진당이 기호 2번인 새정치연합 자리를 획득하게 돼 유권자들의 ‘실수 투표’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본래 규정된 ‘국회 의석 수 등을 기준으로 정당에 통일된 기호를 부여한다’는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모든 지방선거 투표용지에는 기호 1번 새누리당, 기호 2번 새정치연합, 기호 3번 통진당, 기호 4번 정의당 순이 정상 표기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이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내리면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투표용지에는 새정치연합 자리에 통진당이 삽입되게 됐다.

기호 5번부터는 5석 이하 정당, 무소속 후보들의 이름이 오르는데 새정치연합 당명을 달고자 희망했던 이들은 모두 이곳에 속하게 됐다.

이에 따라 그간 자리 잡은 현 유권자들의 인식이 둘째 줄을 차지한 ‘기호 3번 통진당’에 쏠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때까지 대다수의 선거에서 각 정당과 후보자들은 후보자의 이름보다 유권자들에게 인식시키기 용이한 당명과 당색, 특히 기호를 통해 선거운동을 해왔기 때문이다. “무조건 1번 혹은 2번”, “무조건 첫째 줄 혹은 둘째 줄”을 외치는 식이다.

새정치연합 측 한 관계자는 이 같은 근거로 “통진당이 많은 표를 가져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의도치 않게 통진당의 표몰이를 도와줄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것이다. “무조건 기호 2번”에 익숙한 야권 성향 지역 일부에서도 이러한 우려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유권자의 수준이 과거에 비해 매우 높아졌다는 점에서 “전혀 걱정할 것이 없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김준석 동국대 정외과 교수는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일부 혼란은 있을 수 있겠으나 그런 우려는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일 듯하다”며 “특히 통진당에 대해서는 공분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많은데 당 이름이 적혀있는 상황에서 착각하고 찍을 유권자들이 얼마나 있겠나 싶다”고 말했다.

또 다른 새정치연합 측 관계자도 통진당이 ‘어부지리 표’를 얻을 가능성에 대해 “옛날 얘기”라며 “요즘은 칸을 보고 찍는 사람은 별로 없다”고 일축했다.

'종북 이미지' 벗기로 표몰이?

이와는 별개로 통진당이 선거를 앞두고 ‘종북 논란’을 벗기 위한 이미지 변신을 꾀하는 과정이 통진당 표몰이에 한몫을 하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통진당은 지난달 26일 천안함 폭침 4주기 당시 오병윤 원내대표를 처음으로 추모식장에 보냈다. 그동안 통진당은 천안함 사건이 북한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불신하는 발언들을 해왔다.

31일에는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향해 수십 발의 포탄을 쏟아내고 이중 일부가 NLL 남쪽 해상으로 떨어졌다는 소식과 관련, 과거 우리나라 정부를 향해 북한에 도발 빌미를 준 원인을 묻던 때와 다소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이정희 통진당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연평도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에 이상이 없기를 바란다”며 “남북 당국의 신중하고 침착한 대응을 기대한다. 남의 드레스덴 선언이든 북의 중대 제안이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남북 모두의 유연하고 일관된 평화노력이 있어야 할 때에 갈등이 커지도록 두어서는 안 된다”고 적었다.

그러나 오 원내대표가 추모식에서 유가족들로부터 “당론을 밝히라”는 요구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물러서고, 당일 홍성규 대변인이 국회 브리핑에서 “이때까지 제기됐던 의혹들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등 별다른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면서 안보 중시 이미지를 통한 ‘표몰이 효과’는 지극히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합당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민주당’ 당명이 부활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 당이 야권 성향 지역에서 얼마나 득표를 하게 될지도 관심사다.

지난달 26일 새정치연합 창당 다음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민주당’ 당명을 사용하겠다는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신고서 2건이 접수됐고, 지난 1일 선관위는 신고서를 제출한 대표자 2명을 상대로 추첨을 통해 당명 사용권을 부여키로 했다.

앞서 새누리당도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다. 2012년 2월 13일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개정하자 영남권 석권을 목표로 한 한 인사가 같은 해 3월 5일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등록하고 4.11총선에 임한 것이다. 하지만 이 당은 유효투표총수의 2% 이상을 득표하지 못해 정당법에 따라 정당등록이 취소되는 등 굴욕만을 맛봤다. 김 교수는 이 같은 사례에 따라 ‘민주당’ 또한 같은 길을 겪게 될 것이라 내다봤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