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흔들린다…대기업과 양극화 심화
5년 전에 비해 사업체 수, 생산액, 부가가치, 평균임금 등 주요 위상지표 악화
정부와 경제계에서 ‘중소기업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멘트를 입버릇처럼 되뇌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의 위상은 계속해서 추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소기업연구원의 ‘최근 중소제조업 주요 위상지표 변화 원인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소제조업들은 금융위기 이전인 5년 전에 비해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생산액, 부가가치, 평균임금, 수출실적 등 대부분의 위상지표가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수는 2007년 11만8506개에서 2012년 11만5500개로 2.5% 줄었다. 감소폭은 크지 않지만 그동안의 경제성장 규모를 감안하면 사업체 수가 감소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에 따라 전체대비 사업체 수 비중도 99.5%에서 99.4%로 줄었고, 종사자 비중도 76.9%에서 76.4%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중소제조업의 생산액 비중은 48.7%에서 45.7%로, 부가가치 비중은 50.6%에서 47.7%로 각각 축소됐다.
중소제조업이 전체 수출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9년 21.1%에서 2013년 17.2%로 크게 줄었다.
또, 대기업과 중소 제조업들의 연평균 전체임금 격차는 2008년 179만5592만원에서 2013년 243만9538만원으로 크게 확대됐다.
이러한 중소제조업의 위상 약화는 중소기업 고용창출 능력 저하 및 대·중소기업간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 유발 등을 초래하여 국내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중소기업연구원은 중소제조업의 위상 약화에 대해 “지난 1998~2007년 OECD 국가들의 제조업 패널자료를 분석해 국내 경제 상황에 비춰본 결과, 국내 중소제조업 주요 위상지표 약화는 기본적으로 경기요인이 작용한 가운데 중소제조업 혁신능력 부진 및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확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경기요인의 경우, 2000~2007년 사이 평균 4.9%에 달하던 국내 GDP 평균 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2008~2013년 평균 3.2%로 둔화됨에 따라, 경기민감도가 상대적으론 높은 중소제조업체가 보다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 중소제조업 혁신능력 부진은 국내 중소제조업의 R&D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생산성과 경쟁력 등의 질적 요인 향상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 한국의 기업부문 R&D 지출은 OECD 국가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대부분이 대기업에 집중돼 있고, 종사자 250명 미만의 중소기업 R&D 지출은 2012년 기준 OECD 평균인 33%에도 미치지 못하는 24%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확대는 2002~2007년 기간 중 대기업의 59.4%에 달하던 중소기업 평균 임금 수준이 2008~2013년에는 54.5%로 감소하면서,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노동생산성이 둔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연구원은 최근 중소기업의 위상 변화는 구조전환 과정에서의 장기적·추세적 요인이 아닌 경기적 및 중소기업 내적 역량 등의 요인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먼저 중소기업은 R&D 투자 확대를 통해 현재 세계 최고 대비 75%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는 기술경쟁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또, 정부는 산업별·기업별 맞춤형 R&D 지원정책을 통해 중소기업 R&D 투자 활성화 및 성공적 사업화를 유도하는 한편, 대·중소기업간 불균형 성장을 완화하기 위해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관행 및 지나친 기술·인력 유출 등을 개선해 동반성장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경기하강 국면에서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퇴출 리스크가 커지고 고용유지 능력이 약화된다는 점에서 정부의 적극적 경기 대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