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기본급은 보장되기를
사후 퇴직금은커녕 4대 보험 혜택마저 받을 수 없다. 엄연히 사회의 한 집단에 종속되어 있음에도 프리랜서라는 명목으로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 노동자 신분으로 구분되어 열악한 근무 환경을 견디어 내야한다. 이 땅의 모든 하청 애니메이터는 결코 ´철인´일 수 없다.
가정이 있고 처자식을 책임져야 할 선배 애니메이터들 대다수는 박봉에 시달려야 했다. 회사가 부도나는 바람에 직장을 잃은 동료도 있었다. 동료는 울먹였지만, 정작 심난해 하는 속사정은 실업자로 전락해서가 아니다.
비정규직 직장의 특성인 ‘언제나 일손이 부족하다’는 이유가 단시일 내 다른 하청 애니메이션 회사로의 취업을 가능케 했다.
동료의 문제는 당장 쾌쾌한 곰팡이 냄새로 가득한 반지하 단칸방의 방세를 내야 할 급여를 받을 수 없음이었다. 이는 불과 9년 전인 지난 1997년, 당시 나와 동료, 선배를 비롯한 하청 애니메이터들의 서글픈 자화상이다. 하청 애니메이터들이 밀집해 있는 곳, 서울 관악구 봉천동, 신림동의 소위 달동네에 거주했던 그림쟁이의 말 못할 비애다.
당시 나는 토끼굴 같은 반지하 단칸방에서 한국의 ´미야자키 하야오´를 꿈꾸었다. 그러나 현재는 손을 놓아 버린 대다수의 안타까운 선배들의 모습처럼 나 역시 한낱 몽상가로 전락했다. 좌절 사유는 역시 예나 지금이나 애니메이터의 실상이 조금도 나아질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음에 이골이 났다.
학원을 거쳐 애니메이션 회사에 취업했던 난 선∙후배간 상하 수직적이고도 엄격한 관계의 만화가 문화생 시절과는 달리, 직속상관의 터치가 없었던 점이 마음에 들었다. 오로지 자신의 일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선배들이 동화부서의 막내이자, 생 신인이었던 나에게 텃세를 행하지 않는 것은 ‘먹고사니즘’ 이라는 생존본능을 위한 투쟁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을 함에 있어서 전력을 다해야 간신히 기본적인 의식주가 해결될 정도였으니 말이다.
한 예로, 지난 1997년 당시,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신)´의 시작점과 끝점을 나타내는 원화의 중간 동작인 ´동화´가 있다.
동화 한 장의 단가는 800원이었다. 사실적인 그림을 뜻하는 사파체(8등신)의 경우, 800원 수준 안팎이었고, 간략하고도 과장된 스타일의 2등신 캐릭터 등의 그림인 만화체(2등신) 경우는 600원선이었다. 이는 지금도 유효하다. 즉, 물가도 올랐건만, 예나 지금이나 조금도 변치 않는 하청 애니메이터의 수입 수준은 처참하다는 표현이 적절할 듯싶다.
‘많이 그리면 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할지 모르는 독자를 위해서 부연설명을 하자면, 동화부의 한 애니메이터가 월 1000매 이상을 ´꾸준히´ 한다는 건 매우 힘든 일이다. 또 동화부 ´작감(팀장)´이 매달, 한 애니메이터에게 일을 몰아 줄 수도 없는 입장이다. 작감은 같은 부서의 동화 애니메이터들에게 일감의 난이도에 따른 일의 분배를 책임져야 한다.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동화맨이 한달 안에 1000매를 채우는 것도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다. 1000매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월 20일 이상을 야근에 시달려야 했다. 평균적으로 월 1300매 이상의 실적을 올리는 경력 5~6년차 이상의 선배들마저도 한달 내내 공휴일 없이 일에 매진했다.
하청 애니메이터는 소속회사에서 일을 함에 있어서도 회사로부터 하루 3식을 지원받을 수없는 실정이다. 애니메이터들은 각자 식사를 해결해야 했고, 때문에 도시락을 챙겨오는 선배들도 많았다. 밤을 새는 날이면 야참으로 고작 컵라면이나, 500원짜리 빵으로 때우는 동료들이 대다수였다.
무엇보다 하청 애니메이터들이 고되어 하는 것은 일상이 철야의 연속일 것이다. 여가는커녕 휴식일정 조차 잡기 힘들다. 물론 철야 근무는 소속 회사의 빡빡한 일정을 맞추기 위함보다는 최소한의 생계를 꾸려 나가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그러나 자의 결정이라고는 하나, 과할 정도로 몸을 돌보지 않는, 혹사 수준의 선배들도 숱하게 보아 왔다.
쏟아지는 졸음을 참다가 투명 유리판 아래, 형광등이 달려 있는 ´라이트 박스´에 머리를 찧어 유리를 깨뜨리기도 부지기수다. 나는 연일 코피가 멈추지 않아 괜한 걱정을 하기도 했다. 이처럼 애니메이터들은 직업병과도 같은 만성피로에 시달려야만 했다.
하청 애니메이터들은 일을 함에 있어서도 한 신, 한 신의 정성보다는 ´빠른 손놀림´이 관건이다. 생계유지를 위해서는 ´기능 요원´이 필수 조건인 것이다.
하청 애니메이터들의 또 하나의 취약점은 년 평균 2~3개월 이상의 비수기가 항시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 시기, 애니메이터들은 소속 회사로부터 소득이 전혀 없다. 개인적으로 외주업체를 통해서 독자적으로 일을 할 수밖에 없다. 이것도 동화경력이 있는, 검증된 애니메이터라야 가능하다.
해맑은 어린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사해 준다는 ´타칭´ 프리랜서의 생계 수준은 이처럼 처절하며 처참하다. 그리고 현재 진행형이다.
만화로 전쟁의 충격을 이겨낸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