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북 사이버테러, 중국서 캄보디아 라오스 거점 옮겨


입력 2015.03.31 17:03 수정 2015.03.31 17:13        최용민 기자

북한 사이버테러 위협과 대응전략 공동 학술대회

"김정은 지휘하에 어려서부터 사이버전사 육성"

김인중 국가안보기술연구소 창의혁신부장이 31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북한 사이버테러 현황 및 전망' 공동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북한의 사이버전사들이 중국과 국제사회의 추적을 피해 중국에서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등 동남아와 유럽지역 등으로 거점을 옮기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들은 평상시에 소프트웨어 개발, 불법 도박 사이트 운영하며 외화벌이와 산업정보를 수집하다 지시가 떨어지면 즉시 목표 대상에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다는 것이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3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북한 사이버테러 위협 대응전략’ 공동학술회의에서 김인중 국가안보기술연구소 창의혁신부장은 이같이 밝혔다.

김 부장은 '북한 사이버테러 현황 및 전망' 발표에서 "북한은 중국과 말레이시아·캄보디아·라오스 등에 1000여명의 IT 인력을 외화벌이 일꾼으로 위장 파견, 평시에는 도박·게임 사이트를 운영해 외화를 벌다가 지령이 떨어지면 우리 기반 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는 수법을 쓰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김 부장은 “게임에서 사용하는 사이버머니는 해킹으로 탈취가 가능하고 현금화되며 인기 게임에 악성코드를 심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장은 또 북한이 김일성의 지시로 어린 시절부터 해커가 양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에는 원전 외에도 도시가스, 지하철, 철도 제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장은 "북한의 사이버인력은 어린 시절부터 선발되어 집중교육을 통해 양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사이버부대 귀순자의 증언에 따르면 러시아의 컴퓨터공학과 교수들이 사이버 부대원 교육을 많이 해 주었고 특히 개방형 운용체계(OS)인 리눅스 전문가들이 많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작년 말 '자료 파괴형 악성 코드'를 유포해 고리와 월성 원전 PC 5대를 파괴한 후 원전 가동을 중단하라고 협박했다. 2013년까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주로 청와대와 언론사,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었다.

연구원에 따르면 북한은 군과 노동당 산하에 7개 조직 1700명 규모의 전문 해커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 등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13개 조직 4200명의 인력을 운영 중이다.

또 김 부장은 "사이버공격기술로는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지능형 지속위협(APT) 공격, 봇넷, 악성코드, 코드 난독화 기술, 흔적 삭제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부장은 "북한은 국가의 사이버능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력과 인력 활용 생태계가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며 "남한의 사회기반시설과 개인 생활이 점점 더 네트워크와 맞물려지는 초연결사회로 변화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초연결사회가 내재할 수 밖에 없는 취약성을 집요하게 공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응 방법에 대해 김 부장은 "한수원 사태를 계기로 최근 정부에서 ‘국가 사이버안보 강화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며 "강화방안이 조속히 처리되어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안전한 사이버공간을 구축할 수 있게 되고, 세계 각국이 우리에게 안심하고 경제적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이 사이버역량을 확대하면서 아시아에서 사이버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토비아스 피킨 호주전략정책연구원(ASPI) 사이버정책센터장은 “한국은 인터넷이 발달해 사이버 공격에 악용되는 취약점이 증가했다”며 “군사와 안보 작전에 중요한 첩보 데이터를 포함해 네트워크가 계속 사이버 공격을 당하면 동맹국으로 하여금 민감한 정보 공유를 꺼리게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은 자신의 행동이 어떤 궁극적 결과를 가져올지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정권”이라며 “한국은 북한의 사이버 도발이 대규모 실제 군사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성숙한 사이버정책과 탄력적인 프레임워크를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용민 기자 (yong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최용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