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북 신종도발 '목함지뢰'에 벌써 의혹제기 세력이...


입력 2015.08.10 17:42 수정 2015.08.10 18:04        목용재 기자

국제적으로 교묘하게 논쟁 벌일 방법으로 남남갈등 유발

좌파들 "목함지뢰, 국정원 의혹 덮기 위해..." 유언비어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10일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북한이 비무장지대(DMZ)에 살상용 목함지뢰를 매설한 행위와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에서 우리 군 수색대원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지뢰폭발사고는 군사분계선(MDL)을 몰래 넘어온 북한군이 파묻은 목함지뢰가 터진 것으로 조사됐다. 합동참모본부가 이날 공개한 영상에 지뢰가 폭발한 뒤 연기와 흙먼지가 솟구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이 '목함 지뢰'라는 새로운 수단을 이용해 도발을 감행한 것은 관성적으로 대남도발을 감행해왔던 북한이 남남갈등까지 유발시키려는 복합적인 의도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남한이 국가정보원의 해킹프로그램 구입과 관련,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지뢰를 이용해 도발을 감행했다는 국방부의 발표는 일부 ‘의혹제기 세력’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소재라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종북콘서트’ 논란을 겪었던 황선 전 민주노동당 부대변인은 10일 자신의 SNS를 통해 “최첨단 레이저 건도 아니고 1번 어뢰 뺨치는 구식 목함지뢰. 지뢰 매설 폭발 이후 분석까지 이토록 몰랐던 것도, 이토록 느린 것도 대단할 뿐”이라면서 “신고 계통을 넘어 재빨리 현장을 찾고 하루만에 마티즈를 폐기하며 사건 종료하는 발 빠른 한국의 공권력”이라는 글을 남겼다.

국정원의 해킹프로그램 구입을 둘러싼 논란을 북한의 목함 지뢰를 이용해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 셈이다.

실제 북한은 그동안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수단을 발굴해 남남갈등을 유발하고 책임을 회피해왔다.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이 대표적인 사례다. 특히 우리 국방부가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힘든 수단으로만 도발을 해왔다.

천안함의 경우 ‘스모킹 건’인 북한 어뢰의 잔해가 발견됐음에도 불구, 잠수함에 의한 공격이라는 특수한 조건 때문에 일부 세력에 의해 의혹이 계속 제기되는 상황이다. 북한은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 것도 “영해에 사격을 한 것”이라며 발뺌을 하고 있다.

김진무 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일 ‘데일리안’에 “북한은 우리가 전혀 예상치 못한, 허를 찌르는 도발을 많이 해왔다. 2010년부터는 국제적으로 굉장히 논쟁적이고 교묘한 도발만 벌이고 있다”면서 “대남 도발에 대해 굉장히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위원은 “비무장지대라는 특성상 지뢰매설이 많이 돼있고, 목함 지뢰는 홍수가 나면 유실될 수 있는 지뢰”라면서 “이런 종합적인 상황을 보면 북한이 굉장히 교묘한 도발 수단을 발굴한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에서 발표를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의혹을 제기할 만한 것으로 북한이 노리는 것이 바로 이것”이라고 꼬집었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도 “지난해부터 대북전단과 관련, 북한이 굉장히 민감한 반응을 보였는데, 북한나른도 보복할 방법을 찾고 있었던 모양”이라면서 “북한의 소행이 확실하지만 문제는 우리정부가 즉각 대응할 수 없는 도발수단으로 도발을 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양 연구위원은 “천안함도 진상조사에 시간이 걸리느라 대응을 제대로 못했고, 이번 지뢰 도발도 진상조사에 일주일가량이 소요됐다”면서 “‘원점타격’하는 우리 측 얘기에 이런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은 최근 대남 위협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내왔다.

지난달 2일,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대변인은 담화를 통해 “최근 남한 당국이 전례 없는 동족 대결과 북침전쟁열기를 고취하고 있다"며 "남한 군부가 분별을 잃고 움쩍하기만 하면 무서운 불벼락으로 도발의 본거지까지 초토화시키겠다”고 위협한 바 있다.

지난 8일에도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을지 프리덤 가디언' 합동군사연습의 강행은 민족의 존엄과 나라의 자주권을 철옹성같이 수호하려는 우리 군대의 엄중한 군사적 보복 대응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도 위협한 바 있다.

김 연구위원은 “북한이 최근 ‘반드시 댓가를 치르게하겠다’는 식의 메시지를 보내왔었다”면서 “연평도나 천안함 때도 그런 메시지가 있었다. 이번 도발도 김영철 정찰총국장이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지뢰도발’이 북한 수뇌부의 결정에 의한 도발은 아닐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군부에 대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압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자체적인 ‘충성검증’을 위해 도발을 감행했다는 주장이다.

김태우 전 통일연구원 원장은 본보에 “도발 행태가 소극적인 것으로 봐서 평양 수뇌부의 생각으로 이뤄진 도발은 아닌 것으로 본다”면서 “사단장이나 군단장 차원에서 김정은에 대한 충성경쟁 차원에서 도발했을 가능성을 배제하면 안 된다”고 분석했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