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삼성·현대차·SK·한화 임금피크제 속속 도입…고용창출 효과는?


입력 2015.08.18 14:08 수정 2015.08.18 21:44        박영국 · 윤정선 기자

임금축소 기간 2~3년 불과

재원확보 한계 불구 청년일자리대책 적극 동참

주요 그룹별 임금피크제 및 청년일자리대책 도입 현황.ⓒ데일리안

삼성, 현대차, SK, 한화, 한진, 금호아시아나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각종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내년 시행을 목표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한 고용안정과 청년 일자리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정책 기조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요 대기업들은 계열사별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했거나 도입을 위해 현재 노사 협상을 진행 중이다.

삼성그룹의 경우 2014년 1분기부터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 계열사가 순차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했고, LG그룹은 LG전자를 비롯한 전자계열사들이 2007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이후 LG화학과 LG유플러스 등 다른 계열사들도 모두 임금피크제를 시행 중이다.

SK그룹은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등 주력 계열사들이 지난해 노사협상을 마치고 올해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 중이며, SKC 계열사들은 2011년부터 일찌감치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다만 SK이노베이션 등 에너지 계열사들이 난항을 겪고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10월 한화케미칼을 시작으로 (주)한화, 한화첨단소재, 한화테크윈, 한화토탈 등이 임금피크제를 도입 완료한 상태다.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한화갤러리아 등 금융 및 유통, 서비스 등 나머지 계열사들도 올해안으로 협상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GS그룹 역시 GS칼텍스, GS리테일, GS에너지, GS홈쇼핑, GS E&R등 주력 계열사들이 2008년부터 순차적으로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다른 계열사들도 노사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아직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지 못한 대기업들도 내년 60세 정년 의무화에 맞춰 임금피크제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11일 ‘오는 2016년부터 전 그룹사에 임금피크제 도입’ 방침을 발표했다. 41개 계열사 전직군 전직원 15만명을 대상으로 하되, 일부 그룹사 간부사원부터 우선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한진그룹 역시 대한항공 등 직원이 300인 이상인 주요 계열사 16곳이 내년 시행을 목표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 3월에 노사합의 완료된 상태고, 다른 계열사의 경우 노조가 없는 곳도 있고 아직 노조와의 협상이 진행 중인 곳도 있지만 선언적으로 16개 계열사에 대해 우선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지난해부터 전계열사를 대상으로 임금피크제를 추진하고 있지만 계열사별 노사 입장이 달라 상반된 행보를 보이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노사 갈등없이 이미 지난해 1월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 정년을 55세에서 60세까지 확대했고, 56세부터 임금 10%씩 줄어들기 시작해 60세때 임금의 50%만 지급키로 했다. 다만 자녀학자금은 60세까지 보장된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정년이 더 늘어나고, 자녀학자금이나 노후걱정없이 안정된 생활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조기에 도입하자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직원들 반응이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호타이어는 임금피크제와 성과급 문제로 노사간 이견을 보이면서 지난 17일부터 전면파업을 벌이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노사 합의에 따라 공식적으로 임금피크제 시행은 없는 것으로 돼 있지만 실질적으로 임금피크제와 유사한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지난해 임단협에서 노사합의로 정년을 만 60세로 연장하면서 만 58세 이후부터 직무환경에 따라 임금을 조정키로 했다.

◇임금축소 기간 짧아 재원확보 한계…미리 정년 연장한 기업 임금피크제 도입 난항

다만 임금피크제 도입이 ‘노사합의’를 전제로 하는 만큼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한 임금절감’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임금축소 시기가 보통 정년 2~3년 전, 길어야 5년 전이기 때문에 임금절감액이 정년연장에 따른 임금부담을 해소하기에도 벅찬 수준이라는 것이다.

SK그룹의 경우 SK텔레콤은 만 59세부터 임금이 10%씩 감소하고, SK하이닉스는 58세부터 10%씩 줄어든다. 정년 60세까지 임금 축소가 적용되는 시기가 2~3년에 불과하다.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가스 등 에너지 계열사들과 SK네트웍스, SK해운 등은 이미 정년이 60세까지 연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노조와 임금피크제 도입을 논의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SK그룹 관계자는 “임금피크제 도입이라는 게 정년 연장을 연장해주는 대신 연장되는 기간 동안은 임금을 소폭 줄이겠다는 건데, 이미 정년이 연장된 상태에서 아무 조건 없이 임금을 깎겠다는 내용으로 노조를 설득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아예 공식적인 임금 축소기준이 없다. 만 59세부터 2년간 직무환경등급에 따라 임금을 조정키로 하되, 만 60세의 경우 만 58세 기준 임금의 최대 90%를 지급하도록 돼 있다. 사실상 2년간 10%만 축소되는 셈이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정년연장에 따른 임금 조정’ 외에 구체적인 임금축소 방안이 없지만, 현재 현대차와 기아차, 모비스 등 주력 계열사들의 정년이 58세, 현대제철과 현대건설의 정년이 57세인 만큼 임금축소 연차도 3년을 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다른 대기업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대부분 임금피크 기준점이 2~3년에 불과하고 그나마 56세부터 연봉을 줄이는 삼성그룹과 55~57세부터 연봉을 줄이는 한화그룹이 긴 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정부 기조에 맞춰 임금피크제를 통해 절감된 재원을 청년채용에 투입하려면 50세부터는 임금을 줄여야 되는데 2~3년 정도로는 정년 연장에 따른 임금부담을 커버하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삼성 3만명, SK 2만4000명 등 청년일자리 대책 잇달아 발표

이처럼 임금피크제가 실질적인 재원 마련에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 주요 대기업들은 임금피크제 도입과 함께 대규모의 청년 일자리대책을 내놓고 있다.

삼성그룹은 향후 2년간 1000억원을 투자해 총 3만명에게 청년일자리와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내용의 ‘청년 일자리 종합대책’을 17일 발표했다.

그룹 자체적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단지, 호텔신라 면세점과 신라스테이, 삼성바이오로직스 2·3공장 증설, 에버랜드 파크호텔 등 신규 투자를 통해 2017년까지 1만개의 일자리를 새로 창출할 계획이다.

또 직업 체험 인턴과 금융영업 분야에 4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마이스터고와 대학 특성화학과 등 ‘사회 맞춤형 학과’를 확대해 1600명을 양성해 채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삼성 협력사 취업 희망자에게 취업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는 ‘삼성 고용 디딤돌’ 프로그램을 신설, 3000명의 취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도 임금피크제 도입과 연계해 청년고용을 매년 1000여명씩 확대할 계획이며, 기존 진행해 오던 협력사 채용박람회를 통한 청년 고용지원과 정몽구재단을 통한 청년기업 창업지원 사업도 지속할 방침이다.

SK그룹은 ‘고용디딤돌’, ‘청년 비상’ 등 청년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2년간 2만4000명의 청년 인재를 육성할 방침이다.

청년 비상 프로그램은 SK그룹과 대학이 공동으로 창업지원센터를 설립, 2016년부터 2년 동안 2만명의 예비 창업자들을 교육시키고, 이중 우수한 인재들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이다. 고용 디딤돌 프로그램은 전국의 청년들이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 사회적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6개월간의 인턴십을 제공하는 맞춤형 직무능력 개발 프로그램이다.

한화그룹 역시 올 하반기 5729명 채용, 2016년 5140명, 2017년 6700명 등 올 하반기부터 2017년까지 총 17569개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밖에 다른 대기업들도 예년보다 채용을 늘리고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한 청년 고용 활성화 사업을 지원하는 등 청년일자리대책에 동참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경영정상화를 통해 내실을 다져 어려운 대내외 환경을 극복하고 고용을 확대함으로써 청년실업 해소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청년일자리 문제는 사회문제에 국한되는 게 아니라 기업 경쟁력 약화와 내수경기 악화 등 기업의 경영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정부의 청년일자리대책을 기업들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