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초읽기 들어간 美 금리인상…'대출 난민' 설상가상


입력 2017.06.13 06:00 수정 2017.06.13 06:11        이나영 기자

금리인상 기정사실화에 시장금리 선반영… 시장 영향은 제한적

한은 총재 국내 금리 인상 언급, 취약계층 가계부채 부실화 가능성↑

미국 기준금리 추이.ⓒ미국 연연방준비제도 이사회(Fed)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달 미국의 금리 인상 자체가 시장에서 기정사실화돼온 만큼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대출금리 상승 부담에 취약한 서민들의 부담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준은 오는 13~14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연 0.75~1.00%에서 1.00~1.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이 4.3%로 1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증시 주요지수도 연일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우고 있어 금리인상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연준이 지난 3월에 이어 이번달에도 금리를 올리게 되면 미국의 정책금리 상단은 우리나라 기준금리(연 1.25%)와 같아지게 된다. 이후 한 차례 더 올릴 경우 한미 기준금리는 10년 만에 역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주식시장에 들어온 외국 자본이 대규모로 빠져나갈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가 같다면 더 안정적인 투자처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의 이번 금리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 금리 인상이 일찌감치 예견된 일인데다 국내 성장흐름과 기업실적 등이 개선되고 있어 당장 우리 경제를 위협할 만한 자본 유출은 발생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 말과 3월 미국 금리 인상 때에도 자금 이동에 큰 움직임이 없었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현재 금융·경제 상황에 비춰보면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다만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시장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도 덩달아 뛰게 돼 이자 상환 부담이 늘어나게 되고 저소득자, 다중채무자 등과 같은 취약차주의 경우 충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박상현·진용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하락될 것으로 예상되고 최근 물가 상승률이 2%를 상회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준이 이번달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들은 “향후 달러화 가치는 트럼프노믹스 불확실성과 글로벌 자금의 위험자산 선호 현상 등으로 약보합 흐름을 보일 것”이라면서 “다만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논의, 보호무역주의 이슈 등은 달러화의 강세요인으로 작용할수 있어 관련 이슈가 부각될 시 달러화 가치의 변동성이 확대될 공산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선임연구원은 “미국이 지난 3월, 이번 달에 이어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연말에는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각각 1.25%, 1.50%로 역전하게 된다”며 “취약계층의 가계부채 부실화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정오 한은 본관에서 만나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대응책 등 통화정책·재정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해진 상황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가 부임 후 3년 만에 첫 금리인상 시그널을 시장에 보낸 만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와의 회동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고 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 12일 한은 창립 67주년 기념사에서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에는 통화정책 완화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