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최고위급 방중 마치고 귀환…복잡해진 북중미 셈법
로이터·교도, 북한 특별열차 베이징역 출발 보도
北中, 남북미 정상회담 앞두고 다목적 카드 주목
로이터·교도, 북한 특별열차 베이징역 출발 보도
北中, 남북미 정상회담 앞두고 다목적 카드 주목
북한의 고위급 사절단을 태운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방문 열차가 27일 오후 베이징을 떠났다. 로이터 통신은 목격자를 인용해 북한의 특별열차가 베이징역을 출발했다고 전했다.
교도통신도 북한 요인용으로 보이는 열차가 베이징역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북중 양국이 북한 고위급의 방중을 확인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탑승자가 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별열차를 타고 방중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는 가운데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김정은 위원장의 특사로 방중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처럼 남북·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북한 고위급 인사가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중국의 셈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방중을 먼저 요청한 주체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국이 먼저 초청장을 보내 한반도 정세에서 ‘차이나 패싱’을 피하고, 그동안 소원했던 북중관계 개선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몇 년간 북중관계는 최악으로 평가된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핵 개발을 강행하자 중국도 대북제재에 참여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김 위원장은 전향적인 자세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정상회담을 제의했다.
중국은 미국과 전면적인 무역전쟁을 코앞에 두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의 경제적·군사력 영향력 팽창의 방패막 역할을 했던 북한이었다. 북중 관계 악화는 미중경쟁 구도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
중국은 이번 북한 고위급 인사 방중을 통해 미국과 대결에서 내밀 수 있는 ‘북한 카드’를 얻으려 할 것으로 추측된다.
북한도 중국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미국과 중국에 동시에 손을 내밀어 비핵화 협상 테이블에서 몸값을 올리고, 비핵화 협상이 불발되더라도 중국과 혈명관계를 기반으로 체제 유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