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사회적금융' 누가 잘했나…기업·신한 '적극'-국민·농협 '저조'
6개월 간 은행권 사회적경제기업 투입규모 1915억원…건당 1.4억
주로 사회적기업 대상 대출 지원…공공부문도 2102억원 자금 공급
최근 범정부적으로 추진 중인 사회적금융 지원과 관련해 기업은행과 신한은행이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협은행과 국민은행은 상위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서민금융진흥원 대회의실에서 김태현 사무처장 주재로 2019년도 제2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은행권 상반기 사회적금융 공급실적을 발표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6개월 여 동안 은행권이 사회적경제기업에 투입한 규모는 1915억원(1330건)으로 건당 평균 1억4000만원의 자금을 공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작년 한 해 전체실적의 55.9% 수준으로 지난해 상반기 실적 대비 약 11.5% 증가한 수치다.
기업 및 지원 유형별로는 사회적기업 대상 지원이 전체 비중의 73.8%(1414억원)로 가장 많았고 협동조합(405억원)과 마을기업(69억원), 자활기업(2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 방식은 전체의 97% 이상이 대출로 나타났고 기부 및 후원과 제품구매, 출자가 그 뒤를 이었다.
은행 별로는 기업은행(511억원, 26.7%)과 신한은행(427억원, 22.3%)이 높은 실적을 기록했고 하나은행(248억원)과 우리은행(209억원)이 10%대 비중을 나타냈다. 반면 농협(163억원, 8.5%)과 국민은행(147억원, 7.7%)의 사회적금융 지원 규모는 상위권 그룹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방은행 가운데서는 경남은행이 125억원(6.5%)을 공급하며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대구은행(43억원)과 부산은행(16억원)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함께 공공부문에서의 자금공급 실적은 6월 말 현재 1144곳에 2102억원의 자금을 공급해 목표대비 65.1%의 집행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주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보증공급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신협을 통한 대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업력이 짧고 규모가 작은 경우 민간 금융회사를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소진공과 새마을금고를 통한 신규 대출상품 출시, 사회투자펀드 집행 등을 통해 올해에는 전년(1937억원)보다 많은 323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향후에도 분기별 1회를 목표로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자금공급 및 인프라 구축 등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규제 완화 등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