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기로 선 '마지막 베이비붐' 행원들…은행 채용 '분수령'


입력 2019.08.15 06:00 수정 2019.08.15 10:47        부광우 기자

1963년생 올해부터 임금피크제 본격 적용…희망퇴직 확대 전망

"빈자리 메워라" 공채 늘리는 은행들…정부 고용 압박 속 '눈치'

1963년생 올해부터 임금피크제 본격 적용…희망퇴직 확대 전망
"빈자리 메워라" 공채 늘리는 은행들…정부 고용 압박 속 '눈치'


마지막 베이비붐 세대 은행원들이 올해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받게 되면서 퇴사의 갈림길에 서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마지막 베이비붐 세대 은행원들이 올해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받게 되면서 퇴사의 갈림길에 서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마지막 베이비붐 세대 은행원들이 올해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받게 되면서 퇴사의 갈림길에 서고 있다. 임금피크제를 기점으로 희망퇴직 대상이 되는 만큼, 많은 은행원들이 자리를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은행들이 인력 공백 완화 차원에서 채용 확대에 나서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정부의 일자리 창출 압박이 거세지면서 은행들의 눈치작전은 한층 심화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은행들은 직원들을 상대로 통상 만 56세 이상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런 기준 아래 올해는 1963년생 은행원들이 생일이 지난 다음 달부터 임금피크제 대상이 된다.

이들은 보통 1955년부터 1963년생을 가리키는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의 마지막 인원들이다. 이에 임금피크제에 돌입하는 은행원들은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7년 기준으로 1963년생의 숫자는 83만5625명으로 베이비붐 세대에 속하는 구간의 연령별 평균 인구(80만4022명)보다 많은 편이다.

임금피크제를 적용받은 은행원들의 급여는 이전의 절반을 약간 넘는 수준까지 쪼그라들게 된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의 임금피크제 직원 급여는 ▲1년차 60% ▲2년차 55% ▲3년차 50% ▲4년차 50% 등 총 215%다. KEB하나은행의 경우 ▲1년차 80% ▲2년차 60% ▲3·4·5년차 각 40%로 260%를 적용해 왔다.

현장에서는 이런 임금을 받아들이기보다 퇴직을 선택하는 사례가 훨씬 많다. 최근 은행들이 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구조 재편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임금피크제가 그 기점이 되고 있는 영향이 크다. 은행들은 임금피크제 진입 인원들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에서 적게는 절반 이상이, 많게는 90% 가까이가 퇴사를 하고 있다고 전한다.

실제로 올해 초 국민은행이 임금피크제 진입을 앞둔 직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희망퇴직에는 전년(407명)보다 1.5배 가까이 많은 600여명의 신청이 몰렸다. 또 지난해 우리은행이 임금피크제 대상자 500명에 대해 실시한 희망퇴직에서는 400여명이 짐을 쌌다. 같은 해 말 NH농협은행이 임금피크제 적용 직원과 10년 이상 만 40세 이상 행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희망퇴직에서도 600명에 가까운 이들이 은행을 떠났다.

이렇게 되자 반대로 은행들의 채용은 늘고 있다. 선배들의 빈자리를 새로운 인원으로 채우겠다는 차원이다. 특히 상반기에 이미 공채를 단행한 은행들도 하반기에 또 다시 인원 확충에 나설 계획이어서 금융권 취준생들의 이목이 쏠린다.

우선 올해 1000명 채용을 목표로 한 신한은행은 상반기에 630명을 뽑은 만큼, 하반기에도 370명의 추가 선발 여력이 남아 있다. 우리은행도 상반기 300명과 함께 하반기에 450명을 더 뽑는다. 상반기에 360명의 신규 채용을 진행했던 농협은행 역시 하반기 추가 공채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잡지 못한 상태다.

금융당국이 은행들의 적극적인 고용 증대를 주문하고 나선 측면도 채용 확대의 배경이 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번 달 중 은행별 일자리 창출 기여도를 발표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고용 적극성을 측정해보겠다는 취지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하지만 일자리 지표가 수치화됨으로써 경쟁사들과 직접 비교당하는 입장에 놓이게 된 은행들로서는 부담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관리직 인원 감축이 상시화하면서 신규 공채는 물론 상시 채용도 당분간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정부의 일자리 확대 기조에까지 부응하기 위해서는 이런 인력 구조 개편이 가속화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