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정보 기반 악취영향정보서비스 성과공유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환경공단 제공
인천환경공단·수도권기상청은 다음 달부터 지자체 및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양 기관이 공동 추진한 ‘기상정보 기반 악취영향정보서비스’를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기상정보 기반 악취영향정보서비스’는 인천환경공단이 현장에서 수집․검증한 악취측정데이터에 수도권기상청의 한국형수치예보모델과 대기확산기술을 결합해,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확산 경로와 영향권을 실시간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공단은 기상 조건 변화에 따른 악취 확산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 현장 운영 관리의 효율을 높여 주변 시민들의 악취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단은 실측 기반 검증, 운영프로세스 구축, 악취저감 활용 체계 정립을 담당하며 기술 실효성을 강화했다.
수도권기상청은 악취․기상자료 통합과 예측 알고리즘 고도화를 통해 서비스의 정확도와 활용성을 높혔다.
김성훈 인천환경공단 이사장은 “현장 데이터와 기상기술을 결합한 체계적 악취관리는 주민 생활환경 개선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관계기관 협력을 강화해 기술을 지속 확산시키고 악취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환경공단과 수도권기상청은 기상·환경 융합기술 기반 악취관리 모델을 다른 지자체·환경기초시설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하며 대기환경 개선과 공공서비스 향상에 함께 나설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