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포천시가 선당동 6군단 부지를 첨단산업단지 및 도시기반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첫걸음을 내디는등 6군단 부지 활용에 청신호가 켜졌다.
국방부가 6군단 사령부 기존 부지 활용방안에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적극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때문이다.
-
포천시는 지난달 28일 국방부 회의실에서 국방부와 전 6군단 사령부 부지활용을 위한 제3차 상생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국방부 군사시설기획 관계자와 백영현 포천시장,포천시 관계자가 참석했다.
6군단은 포천시의 경제 중심권인 소흘읍과 포천동 중간인 자작동(선단동)에 68년 동안 주둔했고 국방개혁에 따라 지난해 11월 공식 해체가 완료되었다.
이에따라 포천시는 6군단 사령부 부지를 활용하고자 국방부와 상생협의회를 구성해 계속 협의 중에 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시가 요청한 6군단 사령부 부지활용에 대한 국방부의 검토 결과 설명에 이어 민․군 상생을 위한 시의 추가 제안을 중심으로 협의가 진행됐다.
국방부는 시 요청에 대한 검토 결과 부대이전을 위한 작전성 검토 및 후속 행정절차 진행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이다.양 기관은 상생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찾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시는 추가로 6군단 사령부 등 산재한 군시설을 통합해, 대통령 공약사항인 민군상생복합타운을 효율적인 군작전 수행 적합지에 조성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건의했다.
앞서 백 시장은 지난해 10월 국방부관계자와 만나 6군단 부지 반환을 위한 실무협상단을 구성해 논의할 것을 제안한후 국방부와 상생협의회 회의를 두차례 가진 바 있다.
국방부는 6군단내 시 땅을 매입해 부대를 재배치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시의 반대로 부지매입계획을 포기했다.
6군단은 1954년부터 68년동안 자작동 89만7900㎡에 주둔해오다가 지난해11월 부대개편으로 해체됐다.
전체부지 가운데 63만3200㎡(70%)이 국방부 땅이고 나머지 26만4700㎡가 시 소유다. 국방부가 시 공유재산을 무상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지난해 12월로 만료됐다.
군시설 통폐합은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새로운 민군 협력 모델이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월 6군단 부지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반도체와 신소재,바이오등 첨단산업을 유치해 인구유입을 통해ㅐ 인구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시는 또 고도제한 등 군사규제를 풀기위해 6군단 맞은편 43번 국도변 15항공단 이전도 병행해 추진 중이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인구감소로 인한 군부대 통합 및 개편은 불가피하다. 군에서도 적극적인 검토를 통해 산재한 군시설 통폐합의 성공적 모델을 포천시에 조성해 주길 바란다”며“이는 군의 안정적인 작전 여건 확보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