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7개 시군·e-순환거버넌스와 업무협약 체결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중소형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체계를 확대하고 폐전지류도 함께 무상 수거하는 ‘폐가전제품·폐전지류 통합 수거 체계’를 구축하고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보조배터리의 사용이 일상화되고 무선 생활가전제품의 생산이 늘어나면서 2차 전지의 사용은 급속히 증가함에도 가정에서는 성능이 다한 2차 전지를 배출하는 방법을 잘 몰라 실내에 방치하거나 비용을 주고 처리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장기간 방치 시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도 우려됐다.
이에 경기도는 도민이 2차 폐전지류를 쉽고 안전하면서 무상으로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수거체계를 구축했고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이날 오후 용인시 처인구 수도권재활용센터에서 도내 27개 시군, e-순환거버넌스와 폐가전제품·폐전지류 통합 수거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폐가전제품·폐전지류의 통합수거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도록 수거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제도 홍보 등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도는 통합 수거 체계가 원활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제도적·정책적 기반을 지원하고, 27개 시군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수거 거점을 확대하고 주민 홍보와 교육을 강화해 현장 실행력을 높이는 행정 지원을 실시한다.
e-순환거버넌스는 전용 수거함 개발과 설치, 수집·운반 등 실무 전반을 담당하고 특히 지역별 수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통합 수거의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폐가전제품·폐전지류 통합 수거 체계 대상은 수원, 용인, 화성, 성남, 부천, 남양주, 평택, 안양, 시흥, 파주, 김포, 의정부, 광주, 광명, 군포, 양주, 오산, 이천, 안성, 의왕, 포천,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가평, 연천 등 27개 시군이며 공동주택과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기반을 구축하고 향후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으로 수거 기반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협약으로 경기도에서 폐가전제품과 폐전지를 함께 처리할 수 있는 체계적 기반이 마련될 것”이며 “도민의 생활 편의를 높이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