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경기도, 시군과 총력 대응

윤종열 기자 (yiyun111@dailian.co.kr)

입력 2025.11.18 19:09  수정 2025.11.18 19:09

공공 폐기물처리체계 유지…소각시설 확충 당부

경기도청 전경ⓒ

새해부터 수도권에서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될 예정인 가운데 경기도가 시군과 함께 예산 확보, 공공소각시설 확충, 민간시설 감독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경기도는 18일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 주재로 ‘제9회 도-시군 부단체장 회의’를 열고 내년에 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 제도 시행과 겨울철 자연재난의 철저한 준비와 협력을 시군에 당부했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수도권에서는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전면 금지된다.


현재는 생활폐기물을 시군별 자체 소각시설을 통해 처리하고 부족한 용량에 한해 수도권매립지를 통해 직매립하는 형태다. 하지만 소각 등의 처리가 의무화되면서 시군 재정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현재 도내 공공 소각시설의 하루 처리 가능용량은 3500톤으로 종량제 발생량 4700톤 이상에 비해 부족하다. 성남 등 21개 시군에서 공공 소각시설을 짓고 있지만 2027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추가 공공 소각시설(약 3000톤 규모)이 조성될 예정이어서 당장 내년에는 쓸 수 없다.


이에 따라 민간 처리시설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비용 부담이 대폭 커진다. 생활폐기물 직매립 처리비는 1톤당 11만 원인데, 민간 처리시설 위탁 처리비는 17만~30만 원대 수준이다.


이에 도는 이날 폐기물 처리비 예산 반영, 공공 소각시설 확충, 민간시설 관리감독 강화 등을 시군에 주문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직매립금지 제도가 예정대로 시행되는 만큼 각 시군은 철저하게 예산을 확보하고,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해 현장에서 폐기물 처리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군의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해달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윤종열 기자 (yiyun1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