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 따라 사라진 오징어, 다음엔 누구 [씨 마른 바다②]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5.05.29 06:00  수정 2025.05.29 08:39

‘국민 생선’ 명태 20년 전부터 종적 감춰

‘울릉도 오징어’ 지난해 어획량 역대 최저

주꾸미·도루묵…바닥나는 자원의 보고

어업 방식 바꾸고 제도 재설정 필요

명태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명태는 한때 ‘국민 생선’으로 불렸다. 강원도에서는 ‘지나가던 개도 명태를 물고 다녔다’고 할 정도로 흔했던 생선이다. 동태와 황태, 코다리, 노가리 등 불리는 이름만 수십 종이었던 명태는 2008년 공식 어획량이 ‘0’을 기록하며 자취를 감췄다. 한국 바다에서 명태는 그렇게 사라졌다.


명태 실종은 바다 어족자원 변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1970년대 ‘대한뉴스’를 보면 한해 속초와 고성 지역에서 잡은 명태만 해도 10만t이 넘었다. 당시 소득 기준으로 50억원이 넘는 규모다.


명태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매년 어획량이 꾸준히 줄더니 2000년대 들어서는 흔적조차 찾기 어려워졌다.


정부는 뒤늦게 명태를 살리겠다고 나섰다. 2014년부터 인공 부화한 어린 명태를 바다에 방류했다.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는 해마다 20만 마리의 새끼를 바다에 풀었다. 2019년부터는 법을 바꿔 명태 자체를 못 잡게 했다.


이런 시도에도 명태는 돌아오지 않았다. 2023년까지 180만 마리를 풀었지만, 돌아온 명태는 18마리에 그쳤다. 사업에 투입한 수십억원의 예산도 명태와 함께 사라졌다.


명태 다음은 오징어 차례다. ‘울릉도 오징어’로 대표되던 동해 오징어는 지금 명태의 길을 걷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근해에서 잡은 오징어는 1만3546t 정도다. 전년대비 약 절반(42%)가량 줄었다. 역대 최저치다. 20년 전인 2004년 어획량 21만3000t과 비교하면 16분의 1로 쪼그라들었다.


오징어 어획량 감소는 최근 들어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2021년 6만880t에서 2022년 3만6578t, 2023년 2만3343t으로 눈에 띄게 줄었다.


김성호 경북 포항시 구룡포수협 조합장에 따르면 동해안 오징어는 예년 대비 96% 가까이 덜 잡힌다. 남해와 서해 등에서 그나마 어획고를 올려 평균적으로는 절반 수준이라도 유지하는 중이라고 한다.


50년을 어부로 살아온 이길운(70) 씨가 최근 2박3일 간 조업에서 잡은 오징어는 500마리가 전부다. 출항 경비만 400만원이 들었는데, 오징어 경매 가격은 250만원에 그쳤다.


울산 앞바다에서 잡은 오징어 모습. ⓒ데일리안 장정욱 기자
기후 탓? 씨 말리는 조업 방식도 문제


동해에서 오징어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다양하다. 직접적으로는 수온 상승이 문제다. 국립수산과학원 ‘2023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를 보면, 최근 55년(1968∼2022)간 한국 해역의 연평균 표층수온 상승률은 1.36℃다. 같은 기간 전 지구 평균에 비해 2.5배 이상 높았다. 특히 동해 표층수온 상승률은 1.82℃로 국내 해역 중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오징어는 비교적 바다 표층에 서식한다. 저층에 서식하는 어종들에 비해 수온 등 환경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따뜻해진 동해는 오징어를 러시아로 쫓아내고 있다.


수온만이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 생각 없이 남획한 것도 오징어 고갈의 주요 원인이다. 굳이 남 탓을 하자면 북한 해역에서 중국 어선들이 다 자라지도 않은 오징어를 싹쓸이한 영향이다.


이길운 씨는 “오징어가 다 커서 내려와야 하는 데 (중국 어선이) 위에서 싹쓸이하니 내려올 게 없다”며 “출항을 해도 기름값이랑 인건비, 보험료 빼면 적자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총허용어획량(TAC) 제도 밖에 있는 근해자망어업도 오징어 남획에 한몫한다. 특히 서해 지역에서 자망어선이나 쌍끌이어선들이 오징어를 싹쓸이하면서 채낚기 어선과 갈등까지 빚고 있다.


오징어가 자취를 감추면 다음은 주꾸미가 뒤를 따를지도 모른다. 봄이 제철인 주꾸미는 올해 오징어 이상으로 어획량이 줄었다.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서해안에서 위판한 주꾸미 물량은 404t에 그친다. 5년 전 2007t과 비교하면 약 80% 줄었다.


이미 한차례 고갈 위기를 겪었던 ‘도루묵’도 비슷한 처지다. 지난해 도루묵 어획량은 최고 수준이던 2016년 대비 4% 수준까지 떨어졌다. 참고로 도루묵은 2000년 초반 자원 고갈이 우려돼 해수부가 2006년 수산자원회복 중점 연구종으로 지정한 어종이다.


오징어, 주꾸미, 도루묵뿐만 아니라 많은 어종이 한반도 바다에서 종적을 감추고 있다. 어느 것 하나 ‘제2의 명태’가 되더라도 이상할 게 없다. 뿌린 대로 거둔다고 했다. 자원의 보고(寶庫)였던 바다는 점점 텅 빈 창고가 되고 있다.


▲“안 나가면 100만원, 나가면 50만원…어쩌겠어. 나가야지”[씨 마른 바다③]에서 계속됩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