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베트남 제품에 대해 20%의 단일 관세를 적용하는 대신 미국 제품에 대한 베트남 시장을 전면 개방하는 내용의 새로운 무역합의를 베트남과 체결했다고 전격 발표했다. 베트남은 한국·일본·대만 등과 함께 미국이 무역에서 적자를 봐온 대표적인 아시아 국가로 미국과 포괄적인 무역 합의를 이룬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베트남 과의 무역합의를 매우 영광스럽게 발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합의가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인 또 람과의 직접적인 대화를 통해 이뤄졌으며,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에 대해 20%의 단일 관세를 적용하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2일 ‘해방의 날’에 베트남에 대해 46%의 관세율을 발표했는데, 이보다는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이다.
다만 중국산 제품의 우회수출 통로가 될 수 있는 제3국을 경유한 환적 물품에는 40%의 별도 관세가 부과된다. 환적(transshipping) 수출은 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거나 베트남에서 최종 조립만 거쳐 미국으로 수출되는 경우를 말한다. 미국은 현재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갈등을 겪으면서 베트남을 주요 우회 수출국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반면 베트남은 사상 처음으로 미국산 제품에 대해 시장 전면 개방을 수용했다. 그는 “베트남이 미국산 제품에 모든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다”며 “미국이 베트남 시장에 완전히 진입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 덕분에 미국 기업은 무관세(0%)로 베트남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와 대형 차량 등 미국 제품이 베트남에서 매우 잘 팔릴 것”이라며 낙관적 전망도 부연했다.
이번 합의는 미국이 지난 4월 일방적으로 발표한 46% 고율 관세 방침을 유예한 뒤 7월 9일 유예 시한 만료를 앞두고 전격 체결된 것이다. 베트남은 영국과 중국에 이어 미국과 무역합의를 체결한 세 번째 국가가 됐다.
미국은 이사아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양자 협상을 통해 자국 산업에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낸 사례로 평가된다. 나이키와 갭, 룰루레몬 등 베트남 내 주요 제조시설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들이 미국 정계 로비에 나서며 이번 무역협상을 측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 과정에서 베트남 측에 ▲중국산 환적 단속 강화 ▲비관세 장벽 철폐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모든 대미 관세 철폐를 제안하고, 30억 달러(약 4조원)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트남은 미·중 무역갈등 이후 생산기지가 중국에서 이동하면서 미국 소비재의 대체 공급지로 급부상했다.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약 1370억 달러(186조원)로 미국의 여섯 번째 수입국이 됐으며, 무역수지 흑자는 중국, 멕시코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을 향해 “(무역 협상) 합의가 안 되면 30%, 35% 또는 우리가 정하는 어떤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지난 4월 일본에 예고한 상호관세는 24%였다. 그는 이틀 전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를 사지 않는다고 비판하고, 전날엔 미국산 쌀을 더 사라고 압박했는데 이날까지 3일 연속 일본을 때린 것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