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기자의 눈
기고
시사만평
정치
대통령실
국회/정당
북한
행정
국방/외교
정치일반
사회
사건사고
교육
노동
언론
환경
인권/복지
식품/의료
지역
인물
사회일반
경제
금융
증권
산업/재계
중기/벤처
부동산
글로벌경제
생활경제
경제일반
생활/문화
건강정보
자동차/시승기
도로/교통
여행/레저
음식/맛집
패션/뷰티
공연/전시
책
종교
날씨
생활문화일반
IT/과학
모바일
인터넷/SNS
통신/뉴미디어
IT일반
보안/해킹
컴퓨터
게임/리뷰
과학일반
연예
연예일반
TV
영화
음악
스타
스포츠
스포츠일반
축구
해외축구
야구
해외야구
농구
배구
UFC
골프
세계
아시아/호주
미국/중남미
유럽
중동/아프리카
세계일반
수도권
경기남부
경기북부
인천
비쥬얼 뉴스
포토
D-TV
카드뉴스
전체기사
실시간 인기뉴스
착한선진화
태국 국왕, 사상 첫 中 국빈 방문…"우리는 형제"
사상 처음으로 태국 국왕이 중국에 국빈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담했다고 중국 공영 CCTV가 14일 보도했다.마하 와찌랄롱꼰 국왕은 이날 오전 베이징에서 시 주석을 만났다. 시 주석은 “와찌랄롱꼰 국왕은 처음으로 중국에 국빈 방문한 국왕이 됐다”며 “이는 중국과 태국 사이의 깊은 우정을 반영한 결과”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시리킷 황후 서거에 깊은 애도를 전한다. 우리는 태국 왕실과 인연이 깊고 양국 우호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며 “올해 우리는 수교 50주년을 맞았다. 양국은 진정한 친척이자 좋은 친구, 파트너였다”고 덧붙였다.이…
中소매판매·산업생산, 1년 만에 최저…"둔화세 심각"
중국의 지난달 산업생산과 소매판매가 1년여 만에 최저 성장률을 보였다고 로이터통신이 14일 보도했다.중국 국가통계국은 10월 중국 산업생산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9%, 소매판매는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산업생산은 전달 증가율(6.5%)보다 크게 낮아졌고 지난해 8월(4.5%)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소매판매 또한 지난해 8월(2.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특히 소매판매 증가율은 5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있었던 2021년 이후 최장기간 둔화다. 이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
"캄보디아 범죄 배후 천즈, 자산 90조…中정보기관과 협력도"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배후라 알려진 프린스 그룹 소유주가 600억 달러(약 90조원)에 달하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영국 매체 더타임스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 매체에 따르면 프린스 그룹의 소유주 천즈는 캄보디아 정부 및 중국 정보기관과 연계돼 있으며 중남미 마약왕에 맞먹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타임스는 “중남미 범죄 조직이 이 정도의 자산을 보유한 것은 사상 처음”이라고 평가했다.수사 기관은 천즈의 주된 수입원이 온라인 사기라고 밝혔다. 그는 캄보디아 내 최소 10개 센터를 운영하면서 인신매매 등으로 확보한 노동자 수천 …
‘태극기가 보이네’ 일본축구 홍보 이미지 논란
일본축구협회(JFA)가 국가대표팀을 알리기 위해 만든 홍보 이미지가 태극기와 흡사하다는 논란에 휘말렸다.13일 산케이 신문에 따르면 JFA는 지난 10일 ‘JFA·아디다스 축구 일본 대표 2026’ 캠페인 공동 발표회에 맞춰 일본축구 국가대표팀 홍보용 이미지를 공개했다.JFA는 일본 아이돌인 'JO1'과 'INI'에서 축구를 좋아하는 멤버 12명을 모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홍보대사인 'JI BLUE'(제이아이 블루)를 결성했고, 이들의 모습이 들어간 이미지를 공개했다.이들은 파란색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상의를 착용했고, 배경 가운…
캄보디아-태국, 휴전 후 첫 총격전…"민간인 1명 사망"
미국의 중재로 휴전에 합의한 태국과 캄보디아 사이에 총격전이 발생해 민간인 1명이 사망했다고 AFP통신이 13일 보도했다.캄보디아 국방부는 태국군이 전날 오후 3시 50분쯤 사격을 시작해 북서부 반띠어이미언쩨이주 쁘레이짠 지역에서 민간인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이런 행동은 평화적으로 맺은 최근 합의를 배반한 것이다”며 “이번 공격은 태국군이 전투를 재개할 목적으로 벌인 일이다. 우리는 여전히 휴전 조건을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이에 윈타이 수바리 태국군 대변인은 “캄보디아군이 먼저 태…
역대 최장기간에도…"中광군제, '잠잠하게' 끝나"
중국 연중 쇼핑 대목인 광군제가 비교적 잠잠한 분위기에서 막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중국 데이터분석 업체 신툰은 올해 광군제 총매출이 1조 7000억 위안(약350조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광군제는 2009년 전자상 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11월 11일 큰 폭의 할인 행사를 벌이면서 처음 시작된 축제다. 11이 두 개라는 의미의 솽스이(쌍십일)라고도 불리며 미국 추수감사절(11월 넷째주 목요일) 시즌과 비교되는 세계 최대 쇼핑 이벤트다.내수 부진과 부동산 시장 침체, 높은 청년 실업률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은…
트럼프 '조지아 사태' 불만?…“뛰어난 한국 기술 인력 쫓아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월 미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급습해 한국인 체포한 사건을 거론하며 미국의 해외 투자 유치 과정에서 필요한 해외 기술 인력들을 미국으로 데려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미 CNN방송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폭스뉴스 ‘더 잉그럼 앵글’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근로자들의 임금이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숙련 노동자 비자를 줄일 것이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런 우려에) 동의한다”면서도 “인재도 영입해야 한다”고 답했다.그는 ‘미국에도 재능이 …
日, 내각 추가 수당 지급 중단…"총리 1000만원·각료 460만원 삭감"
일본 정부가 국회의원 세비와 별도로 받는 각료들의 급여 지급을 중단한다고 아사히신문이 12일 보도했다.다카이치 사나에 내각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방침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달 임시국회 회기 종료 전 급여 삭감 내용을 담은 급여법 개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일본 국회의원은 매달 세비 129만 4000엔(약 1230만원)을 받는다. 여기에 총리는 115만 2000엔을, 각료는 48만 9000엔을 각각 추가 지급 받는다.개정안이 통과되면 다음 내각에서도 급여 지급 정지가 이어진다. 이는 앞서 다카이치 총리가 일본 유신회와…
다카이치, 비핵화 3원칙 유지 여부 묻는 질문에 확답 회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비핵화 3원칙 유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확답을 피했다고 교도통신이 11일 보도했다.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2026년 3대 안보문서에 비핵화 3원칙을 견지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제부터 작업이 시작된다. 이를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비핵화 3원칙이란 핵무기를 제조·보유·반입하지 않는다는 일본 정부의 핵 정책이다.지난해 자민당 총재선거 당시 다카이치 총리는 “비핵화 3원칙을 유지하면서 미국의 핵우산에 의지한다는 것은 모순”이라며 “핵무기 반입에 대해선 우…
EU, 中 화웨이·ZTE 통신장비 퇴출 법제화 추진
유럽연합(EU)이 회원국 내 통신망에서 중국산 장비를 사실상 퇴출시키는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10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권고’하는’ 수준이었으나 법적 의무화를 추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럽 내 중국 통신장비의 사용 배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이 같은 조치가 시장 원칙에 위배한다며 반발하고 있는 만큼 또 다른 갈등으로 번질 공산이 커졌다.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5년 전 발표한 ‘고위험 공급업체 사용중단’ 권고안을 법적 구속력을 가진 규정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
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변화와 영향은?
반도체·스마트폰 관세 어떻게?…갤럭시·아이폰 영향 '촉각'[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3500억 달러 대미 투자...금융권 조달 시험대 [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불확실성 해소 긍정적이지만…"당분간 고환율 유지" [한미 관세협상 타결 그후]
법조계에 물어보니
법잘알이 풀어주는 뉴스 속 법 이야기
'대장동 범죄수익 7800억' 민사 환수 가능 주장 현실성 있나? [법조계에 물어보니 685]
與 '법원행정처 폐지 추진' 공식화…"위헌 소지 다분" [법조계에 물어보니 684]
특검, 박성재 전 장관 구속영장 재청구 방침…실효성 있을까? [법조계에 물어보니 683]
오늘의 칼럼
국사범과 국사범의 길
서지용의 금융 톡톡
규제의 역설…서민금융의 문을 닫은 건전성
정명섭의 실패한 쿠데타
기묘한 반란 – 양수의 난
최홍섭의 샬롬 살람
1인자와 2인자의 오묘한 관계
11월 14일
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 내란특검 수사 '급제동'
데일리 헬스
하루를 바꾸는 건강·뷰티·라이프 정보 총정리
푸틴, 퉁퉁 부은 손 포착…건강 이상설 부추긴 '이 증상' 원인은? [데일리 헬스]
'이 증상' 나타나면 모야모야병 신호…방치하면? [데일리 헬스]
겨울철 아이템 '기모 레깅스'...'이 질환' 주의해야 [데일리 헬스]
뉴스 속 인물
화제의 인물을 파헤쳐 드립니다.
'대장동 항소 포기' 여파, 끝내 퇴임한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 [뉴스속인물]
내란 재판서 돌발 증언 내놓은 곽종근…과거 '진술 달라진다' 지적도 [뉴스속인물]
與 '사법개혁'에 우려 쏟아낸 천대엽 법원행정처장 [뉴스속인물]
코인뉴스
알아두면 쏠쏠한, 오늘의 코인소식
[코인뉴스]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연내 최고치 경신 희망 사라져
[코인뉴스] 비트코인, 5개월 만 10만 달러 붕괴…한 달새 20% 폭락
[코인뉴스]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에 가상자산 시장 '와르르'…비트코인 한때 11만 달러 붕괴
KOBC Container Composite Index
(2025-11-10)
(2025-11-03)
KOBC Dry bulk Composite Index
(2025-11-14)
(2025-11-07)
한미 팩트시트 공개에도 외인 투매…코스피 4% 하락 마감
한미 팩트시트 공개에도 외국인 투매 영향으로 14일 코스피가 4% 가까이 내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9.06포인트(3.81%) 내린 4011.57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108.72포인트(2.61%) 내린 4061.91로 출발했다.투자주체별로 보면 개인이 홀로 3조2327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조3574억원, 8995억원을 순매도했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HD현대중공업(3.17%)은 올랐고, 삼성전자(-5.45%)·SK하이닉스(-…
미국 증시 하락 여파…코스피 장 초반 4100선 내줘
미국 증시 하락 여파로 14일 코스피가 4100선을 내주며 출발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7분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8.22포인트(1.88%) 내린 4092.41을 가리키고 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08.72포인트(2.61%) 내린 4061.91로 출발했다.투자주체별로 보면 개인이 홀로 6127억원을 사들이고 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730억원, 1548억원을 팔아치우고 있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1.57%)는 오르고 있고, 삼성전자(-3.40…
‘역대 최장’ 美 셧다운 종료…코스피 4170선 회복
미국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종료 소식에 코스피가 4170선을 회복했다.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22.82포인트(0.55%) 내린 4127.57로 개장해 상승과 하락을 반복했으나, 오후 상승세를 굳히며 오름폭을 확대했다.투자 주체별로 보면 기관과 개인이 각각 7142억원, 2390억원 순매도해 지수 하락을 유도했으나 외국인이 1조원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
전국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 0.24% 올라…서울은 0.31% 상승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며 상승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1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10~14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4% 올라 일주일 전(0.11%) 대비 오름폭이 확대됐다.서울이 0.31% 상승했고 경기·인천과 수도권이 각각 0.23%, 0.27% 상승했다. 비수도권에서는 5대광역시가 0.14%, 기타지방은 0.08% 올랐다.전국 17개 시도 기준 상승 15곳, 보합 1곳, 하락 1곳으로 상승 지역이 대부분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0.31%) ▲경기(0.26%) ▲부산(0.20%) ▲울산(…
잇따른 대책 여파로 집값 오름폭 둔화…상승 기대감은 여전
수도권 135만가구 착공 계획을 담은 '9·7 공급대책'과 서울 전역·경기 12곳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대책'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집값 오름 폭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오히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1% 상승했지만 지난 주(0.25%)대비 오름 폭은 둔화됐다. 서울이 0.17%, 경기·인천 지역이 0.09% 각각 올랐고 이를 포함한 수도권은 0.14% 상향됐다.비수도권에서는 5대 광역시가 0.01%, 기타 …
수요·매물 동반 잠김…서울 아파트값 0.42%↑, 상승폭 확대
수요 억제 목적이 강한 10·15 대책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시장에서는 수요 잠김과 동시에 매물 잠김 현상까지 동반되는 분위기다.지난 10월 15일 대비 현재(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도 매물은 13% 감소해 전국 17개 시도 중 감소폭이 가장 크다. 일부 지역만 규제 대상에 포함된 경기 일대 매도 매물도 같은 시기 5% 줄며 차순위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3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월 마지막주(27~31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5% 오르며 전주(0.07%) 대비 상승세가 다시 커졌다. 서울도 0.42% 올라 전…
[부고] 서현석(전 법무법인 시티 대표, 부장판사)씨 별세
[부고] 고종원(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당시 공보단장)씨 조모상
[부고] 지준섭(농협중앙회 부회장)씨 배우자상
[인사] 대보그룹
[인사]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