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호 안양시장의 '12년 뚝심', 박달스마트밸리 조성 본궤도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입력 2025.08.13 11:25  수정 2025.08.13 11:26

최대호 안양시장. ⓒ

경기 안양시가 12년간 추진해 온 '박달스마트밸리 복합문화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의 국유재산 정책 전환 발표와 맞물려 본격화한다. 최대호 안양시장이 2013년 민선 5기 시절 처음 제안한 박달동 군 탄약고 재배치·지하화 계획이 결실을 맺는 셈이다.


지난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7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에서 기획재정부는 2026년도 국유재산종합계획을 의결하며, 노후 군사시설의 '기부 대 양여' 이전과 복합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안양시 박달동 탄약고 지하화 및 부지 개발이 그 사례로 언급됐다.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은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일원(3.1㎢)의 기존 제50탄약대대 탄약고를 다른 곳으로 이전·현대화하고, 확보된 부지에 4차 산업혁명 중심의 글로벌 기업, 주거·문화 시설이 어우러진 첨단 스마트도시를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사업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된다. 민간 컨소시엄이 8600억원 규모로 신형 지하 탄약고를 건설해 군에 기부하고, 국방부로부터 양여받는 옛 부지를 주거·산업·문화 복합단지로 개발한다. 총 사업비는 약 3조원이며, 안양도시공사(50.1%)와 삼성증권 컨소시엄(49.9%)이 공동 시행 주체로 나선다.


이같은 결실을 맺기까지에는 최대호 시장의 '뚝심'이 큰 역할을 했다.


최대호 시장은 2013년 박달동 제50탄약대대 탄약고의 노후와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성장 거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군 탄약고를 지하화하고, 그 위에 첨단 복합도시를 조성하는 '박달스마트밸리' 구상을 처음 내놨다.


그러나 2014년 지방선거에서 불과 930표 차이로 낙선하면서, 사업은 잠정 중단됐다. 이후에도 정부, 군, 지자체 간 협의가 쉽지 않으면서 진전은 없었다.


이후 2018년 재선으로 복귀한 최대호 시장은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을 다시 추진했다. 국방부와의 협상을 재개하고 '기부 대 양여' 방식을 도입, 민간이 8600억 원 규모로 지하 탄약고를 짓고 군에 기부하면, 기존 부지(약 190만㎡)를 국방부에서 양여받아 첨단산업과 주거·문화가 융합된 스마트시티로 개발하는 모델을 내놨다.


이번 기재부의 결정으로 본궤도에 오르게 된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은 2027년부터 본격적인 부지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이에 앞서 내년 하반기 이전할 지하 탄약고 완공 후, 군 기부를 한다.


이번 결정으로 안양시는 노후 군사시설의 안전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첨단산업·문화·주거가 결합된 새로운 성장 거점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협력한 기부 대 양여 모델의 성공 사례로 본보기가 될 전망이다.


최대호 시장은 "박달스마트시티 복합문화조성사업은 2013년 제가 처음으로 박달동 군 탄약 부대에 공식 제안한 사업"이라며 “안양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매우 중대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이어 "군 탄약시설을 통합·재배치·지하화하고 확보된 부지에 첨단기업뿐만 아니라 주거·문화가 융합된 도시를 만들겠다. 안양의 미래 100년을 견인할 핵심 프로젝트로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