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PSU 도입에 노조 반발…"면밀히 살필 것"
"이재용 회장 아직 면담 못해…곧 부문별 TF 팀장 면담"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은 21일 삼성전자가 최근 도입한 PSU(성과연동 주식보장) 제도를 둘러싼 내부 갈등과 관련해 위법 부당한 점이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아직 초기 단계여서 철저한 검토는 아직 못했지만, 위법 부당한 점이 있다면 그 점에 대해서는 저희가 반드시 지적을 하고 시정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삼성은 주주, 임직원, 투자자, 채권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인으로 구성돼 있다"면서 "또 국민이라는 직간접적인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PSU와 관련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좀 더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PSU 제도 시행을 전사에 공지했다. PSU는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제도다. 최대 300주 지급 약정을 하고, 3년 뒤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지급 주식 수량을 확정해 2028년부터 3년간 균등 분할 지급한다는 골자다.
이를 두고 삼성전자 노조 측은 회사가 기존에 확보한 약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PSU 제도의 재원으로 활용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사측은 이 중 8조4000억원은 예정대로 소각하고, 나머지 1조6000억원만을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지만, 노조는 PSU 지출에 따른 '초과이익성과급'(OPI) 감소 가능성 등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올해 지속적으로 추진된 준감위와 이재용 회장의 면담은 아직 진행되지 못했다. 이 위원장은 "(회장님이) 국내외적으로 바쁘신 일정이어서 아직 직접 만나뵙지는 못했다"면서 "조만간 각 부문별 TF 장님들하고 면담 계획이 잡혀 있어서 그때 자세한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에 대해서는 "우리 준법감시위원회 많은 위원님들의 생각이 책임경영이라는 측면에서 (이 회장의 이사회 복귀에) 일관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컨트론 타워 재건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경영진단실이 과거 미래전략실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평가에 대해선 "경영진단실이 미래전략실만큼 많은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지 못하다. 인적 물적 한계가 있을 거라고 본다"며 "나름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말씀을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위원님들 대부분이 (컨트롤 타워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분위기"라면서 "컨트롤 타워 자체는 어떤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