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 우세 속 3파전’ 금메달, 여기서 갈린다
‘최대 12.09점차’ 구성점수 보다 기술점수에서 우열
점프 정확성과 롱엣지 판정 엄격하면 김연아 유리
동계올림픽 2연패로 화려한 피날레를 꿈꾸는 ‘피겨퀸’ 김연아(24)의 첫 무대인 ‘2014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쇼트 프로그램이 20일(한국시각) 열린다.
3조 5번째로 은반에 설 김연아의 출전시간은 오전 2시24분경이다.
소치올림픽을 앞두고 국내외 대다수 전문가들은 여자 싱글 우승 판도가 4년 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와 마찬가지로 ‘디펜딩 챔피언’ 김연아와 올 시즌 그랑프리 파이널 챔피언 아사다 마오(일본)의 2파전 ‘리턴매치’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개최국 러시아 출신으로 막강한 홈 어드밴티지를 등에 업은 16세의 ‘신성’ 율리아 리프니츠카야의 급부상으로 판도는 급격하게 출렁이고 있다. 물론 대다수 전문가들은 김연아 우세를 점치고 있지만 일부 유명 배팅 업체에서는 리프니츠카야의 우승 가능성을 조금 더 높게 본다.
이처럼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여자 싱글 판도는 한국의 김연아, 일본의 아사다, 그리고 러시아의 리프니츠카야가 펼치는 ‘3파전’의 양상을 띠게 됐다. 그럼에도 변치 않는 사실은 금메달 가능성 면에서는 여전히 김연아가 가장 앞서있다는 것.
점프의 질,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기술, 예술성 등 기량 면에다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2연패에 대한 부담보다는 자신의 현역 피날레 무대를 멋지게 장식하겠다는 밝은 의욕과 여유를 유지하고 있는 멘탈 매니지먼트까지 거의 모든 부분에서 김연아의 존재감이 가장 돋보인다.
아사다와 리프니츠카야는 기술 면에서 트리플 악셀과 스핀이라는 확실한 장점이 있음에도 전반적인 기량 면에서 김연아에 뒤진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하지만 이들이 맞붙는 이번 무대는 다른 무대가 아닌 올림픽이다. 올림픽이라는 대회 특유의 분위기로 인한 중압감과 개최국 프리미엄 등 다른 종류의 대회보다 변수가 많다는 점은 마지막 순간까지 특정 선수의 우승을 확신할 수 없게 만드는 요소다.
다른 변수는 차치하고 가장 중요한 채점에서 어떤 부분이 점수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소로 작용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쇼트 프로그램보다는 프리 스케이팅, 예술점수로 불리는 프로그램 구성점수(PCS)보다는 기술점수(TES)에서 우열이 가려질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점프 기술의 정확성과 감점 요소의 엄격한 판정은 우승 판도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김연아나 아사다, 그리고 리프니츠카야 모두 최근 대회에서 높은 프로그램 구성점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연기를 채점을 통해 비교할 때 프로그램 구성점수는 선수들의 우열을 가리는데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리프니츠카야의 경우 일부 전문가들과 언론이 ‘실력에 비해 프로그램 구성점수가 너무 높다’는 문제를 제기할 정도로 높은 점수를 받고 있어 프로그램 구성점수가 승부를 가를 결정적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김연아가 작년 12월 크로아티아서 열린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우승할 당시 프리 스케이팅(131.12점)에서 받은 기술점수는 59.60점, 프로그램 구성점수는 71.52점. 아사다는 작년 11월 일본 도쿄서 열린 그랑프리 4차 대회 NHK 트로피 프리 스케이팅에서 시즌 최고점인 136.33점을 받았을 당시 기술점수는 66.10점, 프로그램 구성점수가 70.23점. 그리고 리프니츠카야는 이번 소치동계올림픽 단체전에서 프리 스케이팅 연기를 펼쳐 ‘퍼스널베스트’인 141.51점을 받았는데 이 가운데 기술점수는 71.69점, 프로그램 구성점수는 69.82점이었다.
각각 다른 대회에서 받은 점수들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어쨌든 점수만 놓고 보면 프로그램 구성 점수의 편차는 최대 1.79점인데 반해 기술점수의 편차는 최대 12.09점까지 차이가 났다. 기술점수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더 큰 이유는 분명하다. 심판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점수와 가산점, 그리고 감점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점프 실수 등 가시적으로 감점 요인이 발생했을 경우, 확실한 점수 차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프리 스케이팅이 기술적 요소들이 좀 더 많이 수행과제로 주어지게 되고, 그 수행과제들을 선수들이 소화하는 과정에서 가산점 또는 감점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이 더 많아 점수의 편차가 쇼트 프로그램보다 확실히 클 수밖에 없다. 기술점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 가운데서도 이번 소치 동계올림픽 무대에서는 점프의 정확도가 승부를 가를 포인트가 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뉴욕타임즈’ 같은 외국의 유력 언론까지 나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리프니츠카야의 롱엣지 논란은 여자 싱글 채점에 있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심판진이 점프의 질과 정확성을 깐깐하게 보면서 롱엣지 판정에서도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다면 ‘점프의 교과서’로 불리는 김연아에게는 호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엣지 사용이나 회전수 등을 다소 느슨하게 평가한다면 트리플 악셀의 회전수 부족과 두 발 착지 등의 고민을 안고 있는 아사다와 롱엣지 논란 속에 생애 첫 동계올림픽을 치르고 있는 리프니츠카야에게는 호재가 될 수 있다.
결국,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 여자 싱글 '삼국지'에서 승부를 가를 두 가지 키워드는 '프리 스케이팅'과 '기술점수(TES)'라 할 수 있다. 덧붙여 실수 없는 정확한 기술구사로 넉넉한 기술점수를 얻어내는 것만이 김연아가 올림픽 시상대 맨 꼭대기에 올라 화려한 피날레를 장식할 비결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