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A 2016]김현석 삼성전자 사장 "퀀텀닷 TV 진화 내년에도 지속"
기술·사양·디자인 등 진전...커뮤니케이션 강화 "용어 변경도 고민"
IoT 확산으로 모니터 수요 증가...TV 좋은 허브 될 수 있을 것
"내년에도 퀀텀닷TV는 상당히 많은 진화가 있을 것이고 (기술이나 사양 외에) 디자인에도 당연히 변화가 있을 것이다."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사장)은 3일(현지시간) ‘IFA 2016’이 열리고 있는 독일 베를린 시티큐브베를린에서 기자들과 만나 퀀텀닷(양자점)TV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김 사장의 이같은 발언은 내년에 내놓을 3세대 퀀텀닷TV가 올해 2세대 제품보다 확실한 차별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퀀텀닷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제품을 처음 출시하면서도 퀀텀닷이라는 용어보다는 수퍼초고화질(SUHD)라는 이름을 내세웠다.
하지만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16'에서 신제품을 내놓을때는 퀀텀닷을 전면에 내세우며 확실히 기술력에 자신감이 붙은 모습을 보였다. 그는 "그룬디히 등 독일 TV 제조사들이 (퀀텀닷 기술을 채용하는 것은) 좀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 퀀텀닷TV의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할 계획이다. 그는 "내년에도 콘텐츠(확보)에 많이 신경 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사장은 퀀텀닷TV의 진화와 함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그는 퀀텀닷이란 용어가 너무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 "쉬운 용어로 바꾸는 것도 고민하고 있다"며 "소비자들과의 소통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TV 시장이 정체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시장이 확 크긴 했지만 지금도 매년 수량 기준으로는 3~4%씩 성장하는 등 정상적으로 시장이 돌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에서도 평균 가구당 TV수가 2대를 넘어서는 등 한 집에 두 세개씩 TV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며 "전 세계 TV가 22억대로 스마트폰이 깔린 숫자와 똑같은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 TV를 빨리 교체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러면 시장은 자연스레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IFA 행사의 메인 테마 중 하나였던 사물인터넷(IoT)에 대해서는 스크린과 모니터 수요 확대와 함께 TV가 핵심적인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 사장은 "TV는 고사양 중앙처리장치(CPU)를 비롯,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등을 모두 탑재하고 있어 IoT의 중심 허브 역할울 할 수 있다"며 "다만 사람들의 일상에 보다 가치를 줄 수 있는 서비스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냉장고와 역할 충돌에 대해서는 "IoT와 함께 홈 오토메이션(자동화)를 하면 스크린 수요는 점점 많아질 것"이라며 "스크린은 남길 수 있는 부분이 많으니까 냉장고인 패밀리허브와 상충되는 것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