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SKT ‘선방’ KT ‘주춤’ LGU+ ‘쑥쑥’...규제이슈는 발목


입력 2017.07.29 09:00 수정 2017.07.29 10:50        이호연 기자

2분기 호실적...3분기 규제로 매출 급감

이통사 소송도 불사, 유영민 장관 “이미 약속된 사안”

시민들이 이동통신사 홍보 판촉물 바라보고 있다. ⓒ 연합뉴스
2분기 호실적...3분기 규제로 매출 급감
이통사 소송도 불사, 유영민 장관 “이미 약속된 사안”


이동통신3사가 지난 28일을 끝으로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받아들었으나, 정부의 통신비 절감 대책으로 3분기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이같은 부정적인 전망으로 이통사는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정부 방치에 우려를 쏟아내며 다양한 대응방안을 고심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7~28일간 발표된 이통3사는 2분기 모두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소폭 성장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마냥 웃기만은 어렵다는 평이다. SK텔레콤은 2분기 영업이익 4233억원, 매출 4조345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3.9%, 1.8% 증가했다.

SK텔레콤의 호실적은 발목을 잡아오던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을 이룬 것이 주효했다. SK브로드밴드는 분기 실적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13.2% 증가한 6205억원을 기록했다. SK플래닛은 적자 폭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그러나 별도 실적은 오히려 지난해 수준에 못미쳤다. SK텔레콤은 전년동기보다 3.3% 감소한 4623억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취득한 2.6㎓ 주파수의 감가상각비, 갤럭시S8 출시 마케팅 비용 증대 때문이다.

KT는 2분기 매출 5조8425억, 영업익 447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4.8%, 2.9% 증가했다. KT의 실적은 인터넷 TV(IPTV) 등 미디어-콘텐츠 사업과 BC카드 등 금융 사업 부문이 약진했다.

반면 본업인 유무선 통신사업은 하락세다. KT 이통사업 매출은 1조781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2% 감소했다. 단말 보험 프로그램 '올레폰안심플랜'의 회계처리 기준 변경으로 매출에서 빠졌기 때문이다.

무선 사업의 경우 전체 가입자가 전분기보다 약 28만명이 육박했음에도 소폭 하락했다. 유선 사업은 기가인터넷의 성장세가 그나마 전체 유선 전화 매출을 상쇄한 것으로 분석됐다.

LG유플러스는 가장 돋보이는 성적을 냈다. 같은기간 매출은 3조97억원으로 4.5%, 영업이익은 2080억원으로 15.5% 올랐다. 상반기 누적영업이익은 4190억원으로, 반기 영업이익이 4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2010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후 처음이다.

LG유플러스의 유무선 사업은 고른 성장을 보였다. LG유플러스는 유일하게 이통매출이 지난해보다 3.2% 증가한 1조4016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매출은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증대와 월평균 데이터 이용량 증가로 3.2% 상승했다. 2분기 LTE 가입자는 1155만6000명으로 전체 무선가입자의 90%에 육박한다.

IPTV 매출은 176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2.4% 급증하며, 유선 사업 성장을 이끌었다. LG유플러스는 홈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확대에도 박차를 가한다. 연내 100만 가구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통신3사가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성적을 기록했지만, 3분기는 위기다. 새 정부가 강력한 통신비 절감 대책 의지를 보이며, 통신사를 옥죄고 있는 중이다. 당장 정부는 오는 9월 선택약정할인율 25% 상향을 추진한다. 이통사 연간 매출이 3300억~5000억원 급감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만원 요금제에서 1.3GB 수준의 데이터 제공량을 사용하겠다는 골자의 ‘보편요금제’도 거론되고 있다. 보편요금제 시행으로 ARPU가 1만원 가까이 하락할 것을 보인다. 이통3사의 ARPU는 3만5000원대 안팎으로 지난해보다 모두 하락했다.

이통3사는 이같은 정부 정책에 대해 행정소송과 위헌 소송 등 법적 대응을 검토중이다. 또한 “가계 통신비 절감 대책과 관련 통신사만이 아닌 정부, 제조사, 포털 등도 참여해서 분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유영민 장관은 “요금 정책은 이미 약속된 사안”이라며 “이통사들이 소송까지 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내가 애타게 만나자고 한 것”이라고 밝혔다. 유영민 장관은 최근 각 통신사들의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통신비 인하 정책에 대한 협조를 구한 바 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