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기자의 눈] BTS도 분노한 음원 사재기, 강제수사 필요하다


입력 2019.12.08 07:00 수정 2019.12.08 09:18        이한철 기자

실체 없는 의혹, 벌써 몇 년째 반복

소극적 진상규명에 ‘편법·탈법’ 기승

실체 없는 의혹, 벌써 몇 년째 반복
소극적 진상규명에 ‘편법·탈법’ 기승


음원 사재기 논란은 음원 시장이 CD 시장을 대체한 이후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 뉴시스 음원 사재기 논란은 음원 시장이 CD 시장을 대체한 이후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 뉴시스

“조금 더 정직한 방법으로 좋은 음악을 만드는 게 어떨까요?”

방탄소년단 멤버 진이 Mnet 아시안뮤직어워즈 수상 소감을 말하던 중 한 말이다.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음원 사재기 논란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실제로 가요계는 조작으로 멍들어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 가운데 오디션 프로그램 조작 논란은 사실로 드러났고, 음원 사재기로 인한 차트 조작 의혹은 아직 아무 것도 밝혀낸 것이 없다.

음원 사재기는 브로커에게 일정 금액의 돈을 지불한 뒤, 특정 가수의 특정 음원을 연속 재생하여 음악 순위 목록 및 실시간 스트리밍 순위 등을 조작하는 행위를 뜻한다. 음원이 CD를 대체한 2010년대 이후 꾸준히 제기된 문제였다. 그럼에도 단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

자정 노력이 없었던 건 아니다. 특히 불공정 의혹으로 공격을 받던 대형 기획사 SM 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스타제국 등이 2013년 음원 사재기를 수사해달라며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누리꾼들이 자금력을 가진 대형 기획사를 의심하자 가장 먼저 발 벗고 나선 것이다.

2015년에는 가수 이승환은 "브로커의 연락을 받은 적이 있다. 순위를 올려주겠다고 하면서 억대 금액을 요구했다"며 브로커의 실체를 폭로했다. JYP 수장 박진영도 지난해 7월 문체부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음원 사재기에 대한 조사를 의뢰했다.

하지만 모두 진실 규명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특히 문체부는 최근 사재기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에 나섰지만 빈손으로 마무리해 비판이 쏟아졌다.

사재기와 팬덤 스트리밍 간 식별이 어려워 사재기 행위를 가리기 어렵다는 게 그 이유였다. 문제가 제기된 일부 음원과 타 음원 이용 패턴 등을 비교했지만, 타 음원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일부 가수들이 직접 나서 ‘브로커’에 대한 경험담을 폭로하는 등 사재기 의혹을 공론화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는 정부도 보다 더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문체부 차원의 진상 조사에서 진실을 가려낼 수 없다면 검찰 수사 의뢰 등을 통해 악순환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

최근 악방송 엠넷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의 순위를 조작한 혐의로 구속된 안모 PD가 재판을 받게 된데는 누리꾼들의 끊임없는 의혹 제기가 한 몫했다. 누리꾼들의 꾸준한 의혹 제기에도 혐의를 부인했던 엠넷은 결국 경찰 조사를 통해 무릎을 꿇었다.

음원 사재기 의혹에 대해서도 브로커의 실체를 파악해 음원 서비스 사업자 혹은 연예기획사 사이의 불공정 거래가 없었는지 적극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강제수사권 없이 이를 밝혀내는 건 사실상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잠시 논란만 피하면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라면 탈법과 편법도 끝없이 진화하기 마련이다. 방탄소년단을 비롯한 한류가 전 세계 음악시장을 휩쓸 만큼 문화강국이 된 지금, 실체 없는 사재기 논란에 마침표를 찍을 때가 됐다.

이한철 기자 (qur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한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