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 최대어 이다현 영입한 흥국생명, 최대 승자 평가
정관장은 살림꾼 표승주 은퇴로 타격, 쌍포 메가·부키리치와도 결별
2024-25 프로배구 V리그 챔피언결정전서 명승부를 펼쳤던 흥국생명과 정관장의 스토브리그 희비가 엇갈렸다.
김연경을 앞세워 통합우승을 차지한 흥국생명은 스토브리그의 최대 승자로 평가 받는다.
김연경의 은퇴로 전력 약화가 불가피해 보였지만 라이벌 현대건설 소속으로 활약했던 국가대표 미들블로커 이다현을 영입해 높이를 보강했다.
이다현은 FA 최대어로 꼽혔지만 보상 선수가 발생하지 않는 C그룹이라 따로 보상선수를 내주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 흥국생명은 세터 이고은을 포함해 리베로 신연경, 세터 김다솔, 아포짓 문지윤 등 내부 FA를 모두 붙잡는데 성공하면서 통합우승 멤버 대부분이 그대로 차기 시즌에도 다시 한 번 정상 도전에 나서게 됐다.
반면 은퇴시즌 김연경의 우승 꿈을 막을 뻔했던 정관장의 스토브리그는 실망스러웠다.
정관장은 지난 시즌 팀 공격을 이끈 외국인 쌍포 메가왓티 퍼티위(등록명 메가)와 반야 부키리치와 재계약에 실패했다.
메가는 지난 시즌 V리그 득점 3위에 오르며 정관장의 에이스로 활약했다. 고희진 감독이 “위대한 선수”라고 극찬을 아끼지 않은 메가의 이탈은 뼈아프다.
지난 시즌 득점 5위에 오른 부키리치는 여자부 베스트7에 이름을 올렸던 선수다. 아웃사이드 히터 포지션에서 김연경과 나란히 베스트7에 선정되며 가치를 인정 받았지만 메가와 함께 다음 시즌에는 정관장에서 뛰는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여기에 정관장은 베테랑 아웃사이드 히터 표승주와 재계약에도 실패했다.
IBK기업은행으로 떠난 이소영의 보상선수로 정관장 유니폼을 입은 표승주는 지난 시즌 팀이 챔피언결정전에 오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공격력이 빼어나진 않았지만 리시브 등 궂은 일을 도맡아 하며 공수에서 살림꾼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메가와 부키리치가 공격 본능을 과시할 수 있었던 것은 표승주의 공이 컸다.
챔피언결정전에서는 부키리치가 지쳤을 때 공격에서도 알토란 같은 역할을 해주며 정관장이 흥국생명과 대등한 승부를 펼치는데 힘을 보탰다.
하지만 정관장과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한 표승주는 유일하게 FA 계약에 실패한 뒤 전격 은퇴를 선언했다.
극과 극의 스토브리그를 보낸 흥국생명과 정관장이 1년 뒤에는 어느 위치에서 시즌을 마무리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