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직원 수 9410명…전년 동기 比 354명↓
업황 악화 및 업계 디지털 전환 흐름 영향
"업황 안 좋아 점포 감축 흐름 이어질 듯"
"노인 대상 교육 및 도움 인력 지원해야"
국내 저축은행이 빠른 속도로 몸집을 줄이고 있다. 인력과 점포가 동시에 축소되면서,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의 접근성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 79개사의 임직원 수는 총 941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9563명) 대비 153명, 작년 동기(9763명) 대비 354명 줄어든 수치다.
저축은행의 임직원 수는 한 때 1만명을 넘어섰지만, 지난 2022년 4분기(1만311명)를 기점으로 9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점포 수 역시 줄었다. 지난 1분기 저축은행의 전체 영업점 수는 255곳으로, 직전 분기(259곳)보다 4곳 줄었다. 구체적으로 ▲모아저축은행 ▲신한저축은행 ▲OK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등이 지점을 한 곳씩 줄였다.
이렇듯 단기간 내 인력과 점포가 동시에 줄어든 것은 업황 악화에 더해 업계의 디지털 전환 흐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결과로 풀이된다.
비대면 금융이 일상화되면서 창구를 직접 찾는 고객이 줄면서 저축은행들은 인건비와 임대료 등 고정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점포 통폐합에 나서고 있다. 영업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이같은 점포 감축 흐름은 대형 저축은행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제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은 오늘(4일)을 끝으로 종로지점을 명동지점에 통합해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내달 1일 올림픽지점 영업을 종료하고 잠실지점과 통합 운영할 계획이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저축은행 점포 수는 앞으로도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고객이 늘면서 점포 통폐합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점에 따라 다르지만, 방문 고객이 거의 없는 곳도 있다"며 "업황이 좋지 않은 만큼, 당분간은 영업점 감축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변화가 고령층과 디지털 접근이 어려운 금융 소외계층에게는 '배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 중소도시에서 저축은행 점포가 문을 닫을 경우, 예금 상담이나 대출 신청 등 기본적인 금융서비스 이용 자체가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저축은행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인건비 등 비용을 줄이는 건 당연한 결과"라며 "고령층의 금융 소외가 우려되는 상황은 맞지만 점포 정리를 강제로 유지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은 정부 차원에서 노인들에게 인터넷, 앱 사용법을 교육하고 비대면 금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력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예를 들어, 노인센터 등에 금융도우미를 파견해 노인들이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노인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게 최우선적으로 필요하겠다"고 조언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제학과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모바일 채널의 사용자 친화성 강화와 함께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전화상담, 순회 창구 등 보완적 채널 확보가 중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는 각 저축은행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맞춤형 금융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일부 지역에는 '하이브리드 점포(디지털+대면 기능 통합)'를 통해 접근성을 유지하는 방식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