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상장사·공모규모 늘었지만…수요예측 결과는 ‘정상화’
7월부터 IPO 제도 개편…의무보유 확대에 기관 ‘신중’ 전망
일각선 “증시 급등에 조정 경계감…공모주에 관심 향할 수도”
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기업들이 증가한 것과 달리 투자자들의 열기는 다소 식고 있다. 작년과는 달리 차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달부터 시행된 IPO 제도 개편이 공모주에 대한 투자 심리에 한층 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옥석 가리기’ 장세가 심화될 전망이다.
4일 기업 홍보 컨설팅 업체 IR큐더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증시에 입성한 신규 상장사는 코스피 4개사, 코스닥 34개사로 총 38개사다. 이는 전년 동기(29개사)보다 8곳 많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공모 규모는 1조6711억원에서 2조2095억원으로 32.22% 증가했다.
이 중 희망밴드 상단에 공모가를 확정한 기업은 29개사였다. 희망밴드 하단에 공모가를 정한 기업은 3개사, 하단 미만으로 설정한 기업은 6개사였다. 다만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가격에 공모가를 확정된 기업은 없었다.
지난해 상반기 IPO를 진행한 기업의 93%(27개사)가 희망밴드 상단 이상으로 공모가를 확정한 것과 비교하면 기관 투자자들이 합리적 수준에서 공모가를 결정하는 등 보수적 접근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공모가 대비 시초가가 상승한 기업 비중은 84%(32개사)로 지난해(97%·28개사) 대비 줄었다. 올 들어 국내 주식시장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형주 및 주도 업종 중심으로 투심이 집중되자 새내기주가 상대적으로 외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하반기 IPO 시장에서 옥석 가리기가 심화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달 1일부터 ▲기관 투자자의 의무보유 확대 ▲수요예측 참여 자격의 합리화 ▲주관사의 책임 강화 등이 담긴 IPO 제도 개선이 시행되면서다.
특히 기관 투자자의 의무보유확약에 이목이 향한다. 의무보유확약이란 상장하는 기업의 공모주를 받는 기관들이 일정 기간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보유할 것을 약속하는 것으로, 이 비중이 높으면 매도하는 기관 투자자가 감소해 주가가 급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동안 IPO 시장에서는 기관 투자자들의 낮은 의무보유확약 비중으로 신규 상장사의 가격 측정 기능을 상실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공모주 열풍 속 ‘엑싯(투자자금 회수)’을 노린 기관들이 대다수였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 2023년 수요예측 제도의 가격 발견 기능을 제고하고자 수요예측 기간을 기존 2영업일에서 5영업일로 늘리기도 했으나, 별다른 효과가 없어 실효성에 대한 의문만 증폭됐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이번 IPO 제도 개편을 단행한 셈이다. 이번 개정안의 취지가 단기 차익을 노리는 허수성 청약을 근절하고 장기 투자 문화를 유도하겠다는 것인 만큼 기관 투자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취할 것으로 관측된다.
IR큐더스 관계자는 “IPO 제도 개편에 따라 기관 투자자의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확대된다”며 “하반기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기업을 두고 기관들의 본격적인 옥석 가리기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 국내 증시의 급등세로 인해 단기 조정에 대한 경계감이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면 공모주 투자에 관심이 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단기간 국내 증시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조정에 대한 불안감이 상존하고 있지만 오히려 조정 국면에서는 공모주 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하반기 IPO 시장에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