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돌려달라”…빌라 3가구 중 1가구 ‘역전세’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입력 2025.07.23 09:53  수정 2025.07.23 09:54

인천 70.2%, 대구 64.3% 등 제일 높아

역전세 빌라, 2년간 평균 1751만원 하락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건물이 모여있는 모습. ⓒ 데일리안 DB

전국 연립·다세대(빌라) 시장에선 3가구 중 1가구가 전세가가 하락하는 '역전세'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치솟는 것과 정반대의 상황이다.


2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2023년 상반기와 올해 상반기 전국 연립·다세대 실거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동일 평형의 전세 계약이 있었던 1만4550개 평형(타입) 중 31.9%에 달하는 4641개에서 전세 보증금이 하락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가 하락 폭이 가장 컸다. 2년 전 대구 빌라의 평균 전셋값은 1억2116만원이었는데 올해엔 1억587만원으로 평균 전셋값이 9.7%(1530만원) 떨어졌다.


인천은 같은 기간 9817만원에서 9134만원으로 7%(684만원) 내려갔다. 이 외 세종(-5.2%), 전북(-5%), 강원(-4.4%), 대전(-4.3%), 부산(-3.5%) 등 주요 도시 빌라 전셋값도 2년 전보다 낮아졌다.


이러한 전셋값 하락은 역전세 발생 비율을 높였다. 인천은 분석 대상의 70.2%가 역전세였다. 대구(64.3%), 부산(48.0%), 대전(44.1%) 등에서도 높은 역전세 비율을 보였다.


역전세가 발생한 빌라들의 보증금은 전국 기준 평균 1억8268만원에서 1억6518만원으로 10.3%(1751만원) 내렸다. 특히 광주광역시는 역전세가 발생한 빌라들의 평균 하락액이 3364만원에 달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대구(-2524만원), 제주(-3750만원) 등도 낙폭이 컸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800만원)과 경기(-1786만원) 모두 역전세가 발생한 집주인이 평균 1800만 원에 가까운 보증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빌라 시장에선 전세 사기 여파 등으로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셋값이 하락, 집주인의 보증금 반환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며 ”최근 발표된 6.27 대출 규제가 빌라 시장의 전세가 하방 압력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